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18년 3회 전력공학 16번

기버보이 2021. 12. 1. 13:48

16. 송전선로에 복도체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①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② 정전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③ 코로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④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풀이  

복도체는 한 상에 도선을 간격을 두고 2가닥으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

1가닥이면 단도체라고 하고요. 2가닥이면 복도체 입니다.

대용량 전력을 송전에서 전선을 1가닥으로 송전한다면 전선이 굵고 무거워 니다.

가공선로 지지대가 이것을 지지하기란 쉽지 않을 거예요.

그래서 복도체 방식을 사용 하게 되면 얇고 가벼운 전선 2가닥이 굵고 무거운 전선 1가닥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어요.

복도체를 사용하면 인덕턴스는 줄어들고, 정전용량은 커지게 됩니다.

복도체를 사용하면 코로나 임계전압이 커지게 코로나에도 유리하게 됩니다.

코로나 임계전압은 코로나가 발생할 수 있는 임계치, 즉 최소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임계치가 클수록 코로나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이 됩니다.]

보통 전선표면의 공기는 절연체라고 보지만, 이 공기도 매우 높은 전압에서는 국부적으로 절연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절연이 파괴될 수 있는 전압을 규정한 것이 전위경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가 증가되면 전선표면의 절연이 국부적으로 파괴가 되고

코로나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이 되겠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 3회 전력공학 18번  (0) 2021.12.02
18년 3회 전력공학 17번  (0) 2021.12.02
18년 3회 전력공학 15번  (0) 2021.12.01
18년 3회 전력공학 14번  (2) 2021.12.01
18년 3회 전력공학 13번  (0) 2021.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