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터빈(turbine)의 임계속도란?
① 비상조속기를 동작시키는 회전수
② 회전자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위험 회전수
③ 부하를 급히 차단하였을 때의 순간 최대 회전수
④ 부하 차단 후 자동적으로 정정된 회전수
(풀이)
터빈 임계속도(turbine critical speed, turbine 臨界速度)를 인터넷 검색을 하게 되면, '회전날개를 포함한 로터 전체의 고유진동수와 회전 속도에 따른 진동수가 일치하여 공진이 발생되는 지점의 회전속도를 임계속도라 한다. 터빈속도가 변화될 때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공진의 발생으로 진동이 급격히 증가한다. 터빈 운전 시에는 임계속도를 단시간에 통과시켜야만 로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음...용어의 설명이 어렵네요.
우리는 임계라는 용어를 정리하고 가도록 할께요.
임계라는 의미를 경계에 도달한다라고 생각하세요.
코로나 임계전압이나 터빈 임계속도와 같이 임계는 넘으면 위험한 경계선 이예요.
그럼, 터빈임계속도는 터빈속도의 위험경계선이 되니, 그 아래에서 운전이 되야 겠어요.
그럼 보기에서 정답 2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년 2회 전력공학 10번 (0) | 2022.01.03 |
---|---|
19년 2회 전력공학 9번 (0) | 2022.01.03 |
19년 2회 전력공학 7번 (0) | 2021.12.30 |
19년 2회 전력공학 6번 (0) | 2021.12.29 |
19년 2회 전력공학 5번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