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19년 2회 전력공학 11번

기버보이 2022. 1. 3. 12:05

11. 단도체 방식과 비교하여 복도체 방식의 송전선로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선로의 송전용량이 증가된다.
② 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③ 전선의 인덕턴스가 감소하고, 정전용량이 증가된다.
④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가 저감되어 코로나 임계전압을 낮출 수 있다.

(풀이) 단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한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복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해요. 다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결국,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복도체이면서 다도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상당 전선수가 많아지게 되면 같은 용량의 굵은 전선 한 가닥 보다 시공비나 지지하중을 낮게 할 수 있는 표면적인 이유 외에 안정도가 증가하거나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송전용량이 증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임계전압을 높일 수도 있어요.
여기서 코로나란, 전기설비나 전선로에시 국부적으로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이고, 이 절연이 파괴되면 설비 이상이나 지락사고와 같은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어요.
복도체 방식을 채용하면 전위경도가 감소해서, 코로나 임계전압이 상승하는데요. 코로나 임계전압이란, 코로나가 발생할 수 있는 최저 전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복도체는 이 한계치를 상승시켜시 안정적으로 전력설비를 운영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이 되겠습니다.

보충설명으로 각 보기 이유 넣기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년 2회 전력공학 13번  (0) 2022.01.04
19년 2회 전력공학 12번  (0) 2022.01.03
19년 2회 전력공학 10번  (0) 2022.01.03
19년 2회 전력공학 9번  (0) 2022.01.03
19년 2회 전력공학 8번  (0)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