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1년 3회 전력공학 8번

기버보이 2022. 6. 3. 12:44

8. 송전선에 직렬콘덴서를 설치하였을 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선로 중에서 일어나는 전압강하를 감소시킨다.
    ② 송전전력의 증가를 꾀할 수 있다.
    ③ 부하역률이 좋을수록 설치효과가 크다.
    ④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전류에 의하여 과전압이 발생한다.

(풀이)
직렬로 콘덴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압강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예요.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직렬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로 감소시켜 전체 합성리액턴스를 감소시키는 원리입니다.
이것을 사용하면 수전단 전압의 맥동을 줄일 수가 있고, 송전전력의 증가를 꾀할 수가 있어요.
그러나, 단락사고 발생 시, 용량성 성분으로 인해 과전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렬콘덴서는 역률이 나쁠수록 효과가 크기 때문에 정답은 3번 입니다.
전압강하 감소는 직렬콘덴서, 역률개선 효과는 병렬콘덴서라고 기억하시면 좋을 듯 해요.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3회 전력공학 10번  (0) 2022.06.08
21년 3회 전력공학 9번  (0) 2022.06.08
21년 3회 전력공학 7번  (0) 2022.06.03
21년 3회 전력공학 6번  (0) 2022.05.30
21년 3회 전력공학 5번  (0)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