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송전선로에 단도체 대신 복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① 전선의 작용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② 선로의 작용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
③ 전선 표면의 전위경도를 저감시킨다.
④ 전선의 코로나 임계전압을 저감시킨다.
(풀이)
단도체란, 전선에 한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고,
복도체란, 두 개의 전선에 한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다도체는 두개 이상의 전선에 한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구요.
두 개의 전선에 한 상의 전력을 보내면 복도체이면서 다도체이지만, 4개의 전선의 한상의 전력을 보내면 다도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복도체나 다도체를 사용하게 되면 전선을 굵게하지 않아도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요.
이것에 의해 인덕턴스는 감소하고, 정전용량은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전위경도는 전압의 기울기, 즉 변화율을 의미하는데요. 이 기울기가 커지게 되면 전압의 변화율이 크게 되고 크다는 것은 코로나나 아크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복도체나 다도체를 사용하면 이 변화율이 낮아지게 되서 코로나나 아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코로나 임계전압은 코로나가 발생할 수 있는 전압을 의미해요.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임계전압이 높아야 합니다. 그런데 복도체나 다도체는 전선을 굵게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라고 했으니, 임계전압을 더 높여주게 됩니다.
따라서 반대로 설명하는 4번이 정답 입니다.
아래 그림은 단도체-복도체-4다도체 사진 입니다.
참고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tjVkS/btrEpAoVJTH/2QMw02KKWCwJh3DxUX85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1R6f/btrEoakhiLA/DMbu6y7IJ4XPzPKKzkzK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TQRLd/btrEtjstwoF/TOCp5GtXNRkfLAiF23pbvk/img.jpg)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3회 전력공학 17번 (0) | 2022.06.14 |
---|---|
21년 3회 전력공학 16번 (0) | 2022.06.13 |
21년 3회 전력공학 14번 (0) | 2022.06.10 |
21년 3회 전력공학 13번 (0) | 2022.06.09 |
21년 3회 전력공학 12번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