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호리액터를 송전계통에 사용하면 리액터의 인덕턴스와 선로의 정전용량이 어떤 상태로 되어 지락전류를 소멸시키는가?
① 병렬공진② 직렬공진
③ 고임피던스④ 저임피던스
(풀이) 송전계통의 접지방식 중 소호리액터 접지에 대한 설명이네요.
소호리액터 접지는 3상 선로의 중성점을 리액터로 접지하는 방식하는 방식인데요.
'다직고보소'의 소에 해당하니까, 지락전류가 가장 작으나 전위상승은 큰 접지방식을 이야기 합니다.
문제에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이라는 말이 나왔으니, 공진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병렬공진인지 직렬공진인지 모르겠네요. 공진부터 알고가죠.
공진이란, 특정주파수에서 전압이나 전류가 커지는 현상이예요.
TV프로그램에서 초음파를 고정된 유리에 보내면 유리가 깨지는 영상이 있어요.
이것은 유리가 가진 고유주파수와 초음파의 주파수가 일치했기 때문에 에너지가 발생한 경우인데요.
결국 전기에서의 공진이란, 교류회로에서 XL과 XC가 같아지는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직류는 주파수가 없어서 불가능하죠.
직렬공진은 말 그대로 L과 C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예요.
이 때 직렬공진이 발생 후 재미있는 현상은 선로의 임피던스가 최소로 됩니다. 그렇게 되면 공진 순간 전류가 최대가 됩니다. 반면 전압은 최초가 되요.
반면 병렬공진은 L과 C를 병렬로 연결한 것 이예요.
임피던스가 최대로 됩니다. 그러면 공진되는 순간 전류가 최소가 되고 전압은 최대가 되죠.
정답은 1번이 되겠습니다.
막상 시험장에 가면 긴장때문에 헷갈릴 수 있잖아요.
좀 더 쉽게 암기하기 위한 방법은 지금 접지선에 코일이 달려있는 거고요. 문제에서 선로의 정전용량이라는 말이니까, L1 L2 L3 전원선이 정전용량이라는 것인데, 애네들이 Y결선으로 Y가운데서 노드점을 만들어 구성이 되니까, 노드가 있는 것은 병렬, 그니까 병렬공진을 찾으심 됩니다.
회로이론에서도 구분을 묻는문제가 출제되기도 하는데요.
너무 깊게는 아니지만 이 정도만 아셔도 어느정도 문제 풀이가 되실 거예요.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회 전력공학 3번 (0) | 2022.06.16 |
---|---|
22년 1회 전력공학 2번 (0) | 2022.06.15 |
21년 3회 전력공학 20번 (0) | 2022.06.14 |
21년 3회 전력공학 19번 (0) | 2022.06.14 |
21년 3회 전력공학 18번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