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직접접지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의 대지 전압이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② 계통의 절연수준이 낮아지므로 경제적이다.
③ 변압기의 단절연이 가능하다.
④ 보호계전기가 신속히 동작하므로 과도안정도가 좋다.
(풀이) 접지방식에 대한 물음이 나오게 되면, 일단 다중접지-직접접지-고저항접지-비접지-소호리액터 접지, 즉 다직고보소를 생각해야 됩니다.
이 순서는 지락전류가 큰 순서 입니다. 대신 전위상승이 작은 순도 되죠.
즉, 이 말은 다시 말하면, 지락사고 시, 전위상승이 작아서 절연에 매우 유리한 방법이라는 거예요.
그래서 단계적으로 절연이 가능한 단절연이나, 절연수준이 낮게 구성하는 저감절연이라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락전류가 크기 때문에 보호계전기가 신속하게 동작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지락전류가 커서 안정도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번 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2회 전력공학 18번 (0) | 2022.07.06 |
---|---|
22년 2회 전력공학 17번 (0) | 2022.07.06 |
22년 2회 전력공학 15번 (0) | 2022.07.06 |
22년 2회 전력공학 14번 (0) | 2022.07.05 |
22년 2회 전력공학 13번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