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한류리액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① 충전전류의 제한 ② 접지전류의 제한
③ 누설전류의 제한 ④ 단락전류의 제한
(풀이) 단답형 문제네요.
한류리액터는 영어로 Current Limiting Reactor라고 합니다. 첫자만 따서 CLR이라고 부르죠.
말 그대로 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터라는 의미예요.
이 때 전류란, 고장전류, 즉 단락전류를 말합니다.
단락전류가 높으면 차단기도 커져야 되지만,
한류리액터를 설치하면 차단기 용량도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④ 단락전류의 제한이 되겠습니다.
(참고) 각 리액터의 특징
기사 실기에서나 다른 단답형 문제로 나올 수 있으니 참고 하세요.
1.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의 제한
2. 분로리액터 : 병렬리액터라고도 하며, 페란티현상 방지
(페란티는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즉, 받는 쪽 전압이 주는 쪽 전압보다 캐패시터 충전효과로 높아지는 현상)
3. 직렬리액터 : 전력용 콘덴서와 설치하여 제 5고조파 방지
4. 소호리액터 : 지락고장 시, 발생하는 지락아크를 소호
(지락 때 발생하는 불꽃을 끈다는 의미)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 1회 전력공학 19번 (0) | 2021.06.18 |
---|---|
18년 1회 전력공학 18번 (0) | 2021.06.15 |
18년 1회 전력공학 16번 (0) | 2021.06.15 |
18년 1회 전력공학 15번 (0) | 2021.06.11 |
18년 1회 전력공학 14번 (2)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