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변전소, 발전소 등에 설치하는 피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방전전류는 뇌충격전류의 파고값으로 표시한다.
② 피뢰기의 직렬갭은 속류를 차단 및 소호하는 역할을 한다.
③ 정격전압은 상용주파수 정현파 전압의 최고 한도를 규정한 순시값이다.
④ 속류란 방전현상이 실질적으로 끝난 후에도 전력계통에서 피뢰기에 공급되어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풀이)
피뢰기는 전기설비를 뇌서지나 개폐서지와 같은 이상전압으로 부터 보호하는 장비입니다.
단자의 전압이 이상전압으로 인해 급격히 상승하게 되면 대지방전을 통해 전압상승을 억제하고, 속류를 차단하게 됩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피뢰기에 대한 용어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공칭방전전류는 피뢰기의 정격전류라고도 합니다.
피뢰기를 통해서 최대로 흘릴 수 있는 최대값을 의미하고, 파고값, 즉 파형의 최고값을 표기합니다.
피뢰기는 직렬갭과 특성요소로 구성이 됩니다.
직렬갭은 여러 개의 자기들이 직렬로 조합한 구조이고, 저항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평상시에는 열린상태를 유지하나 이상전압이 인가되면 단락상태로 변경이 됩니다.
평상 시에는 누설전류를 방지하고 방전 후에는 속류를 차단합니다.
최근에는 탄화규소가 주성분 저항체인 특성요소로만 구성된 갭레스 피뢰기 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어요.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교류전압 입니다. 사용주파허용 단자전압이라고도 해요.
일반상태에서의 피뢰기에 걸리는 실효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순시값이 아니라 실효값으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 됩니다
속류는 보기에서 처럼 방전 후에도 피뢰기에 공급되어 흐르는 전류를 의미합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년 3회 전력공학 1번 (0) | 2022.01.10 |
---|---|
19년 2회 전력공학 20번 (0) | 2022.01.07 |
19년 2회 전력공학 18번 (0) | 2022.01.06 |
19년 2회 전력공학 17번 (0) | 2022.01.06 |
19년 2회 전력공학 16번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