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0년 3회 전력공학 14번

기버보이 2022. 3. 8. 12:51

14.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주로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해지는가?
    ① 수전 계약용량
    ② 부하설비의 단락용량
    ③ 공급측 전원의 단락용량
    ④ 수전전력의 역률과 부하율

(풀이)
단답형으로 2번을 외우셔도 되지만요.
가볍게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할께요.
차단기의 차단용량보다 한단계 낮은 것이 단락용량이예요.
여기에는 이유가 있는데요.
차단용량에는 정격이라는 의미가 있어요.
즉, 차단기에 버틸 수 있는 최대한의 능력을 정격이라고 보시면 되요.
그리고 단락용량은 단락사고가 났을 때, 차단기가 OFF 될 수 있는 용량 인거죠.
다시 말하면 차단용량 > 단락용량 이예요.
계약용량은 한전과 전력요금을 산정할 때 쓰이는 거구요.
역률과 부하율은 전력설비의 운영과 관련된 이야기 입니다.
그러면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이 단락용량과 관련된 2가지 보기인데요.
단락사고가 나면 단락전류는 사고가 난 지점부터 위로 치고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상위 고가의 전기설비들을 망가뜨리는데요.
만약 공급측  전원의 단락용량을 기준으로 차단기 설계가 들어가면 그 상위의 변전설비나 발전설비가 문제가 생기겠죠? 그래서 수용가에서 쓰는 부하설비의 단락용량에 맞춰 단락용량 설계가 들어가면 사고는 변전설비의 1차측 차단기가 내려가는 것으로 멈추게 될 거예요.
그래서 정답이 2번이 됩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 전력공학 3회 16번  (0) 2022.03.10
20년 전력공학 3회 15번  (0) 2022.03.10
20년 3회 전력공학 13번  (0) 2022.03.08
20년 3회 전력공학 12번  (0) 2022.03.07
20년 3회 전력공학 11번  (2) 2022.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