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송전 철탑에서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① 가공지선의 설치 ② 탑각 접지저항의 감소
③ 전력선의 연가 ④ 아크혼의 설치
(풀이)
섬락과 역섬락의 의미인데요.
일단 섬락이라는 것은 송전선이나 배전선의 애자 등의 절연물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순간적으로 불꽃을 내며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예요. 그런데 역섬락이란, 낙뢰전류가 철탑에서 전선으로 불꽃이 거꾸로 일어나는것을 말합니다.
역섬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탑각의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면 되는데요.
이것은 철탑의 저항을 낮춰 이상전류를 땅으로 유도하는 겁니다.
그래서 탑각에 매설지선이라고 해서 접지선을 연결하게 됩니다.
여기서 탑각이란, 탑의 각, 즉 철탑의 다리를 말하는 겁니다. 각선미란 단어가 다리의 아름다운 정도를 나타내는 거잖아요. 여기서 각이란, 다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매설지선은 말 그대로 매설한, 땅에 묻은 접지선을 말하는 거고요.
따라서 정답은 2번이 되겠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 전력공학 3회 19번 (0) | 2022.03.15 |
---|---|
20년 3회 전력공학 18번 (0) | 2022.03.11 |
20년 전력공학 3회 16번 (0) | 2022.03.10 |
20년 전력공학 3회 15번 (0) | 2022.03.10 |
20년 3회 전력공학 14번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