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케이블 단선사고에 의한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정전용량 측정법으로 구하는 경우, 건전상의 정전용량이 C, 고장점까지의 정전용량이 Cx, 케이블의 길이가 l일 때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식으로 알맞은 것은?
![](https://blog.kakaocdn.net/dn/cSdN5c/btrz8ts7OMU/kN0XG38xf224HxeUM4QSV1/img.jpg)
(풀이) 지중케이블을 고장점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머레이루프법, 펄스레이더법, 정전용량 측정법이 있는데요.
정전용량 측정법에 물었으니까, 이거에 대해서만 이야기 해볼께요.
정전용량법은 비례식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건전상 일 때, 즉 건강한 전기상태일 때의 정전용량과 고장났을 때의 정전용량을 나타내면 되는데요.
아래 그림으로 표현 해드릴께요.
![](https://blog.kakaocdn.net/dn/bIkcuo/btrz61jN2tq/7rGIz8kS5UfKp33Wo6m1C0/img.jpg)
정답은 3번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1회 전력공학 15번 (0) | 2022.04.26 |
---|---|
21년 1회 전력공학 14번 (0) | 2022.04.26 |
21년 1회 전력공학 12번 (0) | 2022.04.22 |
21년 1회 전력공학 11번 (0) | 2022.04.21 |
21년 1회 전력공학 10번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