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송전선로에서의 고장 또는 발전기 탈락과 같은 큰 외란에 대하여 계통에 연결된 각 동기기가 동기를 유지하면서 계속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지를 판별하는 안정도는?
① 동태안정도(Dynamic Stability)
② 정태안정도(Steady-state Stability)
③ 전압안정도(Voltage Stability)
④ 과도안정도(Transient Stability)
(풀이)
안정도라는 것은 얼마나 안정적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나를 나타내는 데요.
전력 계통의 안정도의 종류는 세 가지 입니다.
정태안정도, 동태안정도, 과도 안정도 인데요.
순서대로 정리를 해볼께요.
정태안정도는 정상상태의 안정도 예요.
전력계통이 아주 정상적인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예요.
동태안정도는 정태안정도에 전압조정장치와 조속기를 설치하였을 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예요.
정태안정도 대비 조금은 동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과도안정도는 말 그대로 과도 상태의 안정도 인데요.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격한 부하 변화가 있을 때의 전력공급 능력을 말합니다.
문제에서 외란이 발생 했다는 것은 무언가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고 다시 말하면 과도상태를 의미하겠네요.
따라서 정답 4번을 선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1회 전력공학 20번 (0) | 2022.04.29 |
---|---|
21년 1회 전력공학 19번 (0) | 2022.04.29 |
21년 1회 전력공학 17번 (0) | 2022.04.28 |
21년 1회 전력공학 16번 (0) | 2022.04.26 |
21년 1회 전력공학 15번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