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공송전선로에서 총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도체와 비교하여 복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안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②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③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감소시켜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④ 선로의 인덕턴스가 감소되고 정전용량이 증가해서 송전용량이 증대된다.
(풀이)
가공 송전선로의 상당 도체수에 따라 크게 단도체-복도체-다도체로 나눌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단도체는 '혼자 단'을 써서 단일도체를 의미하는 거예요.
그리고 복도체는 '겹 복, 이중 복'이라는 의미로 도체가 2개인 이중도체를 의미해요.
그리고 다도체는 '많을 다'를 써서 다중도체를 의미 합니다.
복도체를 쓴다는 것은 인덕턴스를 줄인다는 이야기 입니다. 반대로 정전용량, 캐패시턴스는 늘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코로나 임계전압을 높여 코로나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감소시켜주죠.
인덕턴스의 감소는 선로의 리액턴스를 감소시켜 안정적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해주죠.
하지만, 한 상에 도체를 하나 쓰는 단도체 대비 2배의 도체가 필요하고 부가의 설비들도 필요하기에 시공비가 높아지고 공사도 어려워지게 됩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IWlu/btrA9jvPVRs/e4wsDgUI2uCXVBz7ifkpzK/img.jpg)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2회 전력공학 3번 (0) | 2022.05.09 |
---|---|
21년 1회 전력공학 2번 (0) | 2022.05.03 |
21년 1회 전력공학 20번 (0) | 2022.04.29 |
21년 1회 전력공학 19번 (0) | 2022.04.29 |
21년 1회 전력공학 18번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