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1년 2회 전력공학 7번

기버보이 2022. 5. 13. 11:58

7. 전력계통에서 내부 이상전압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① 유도성 소전류 차단 시
    ② 수차발전기의 부하 차단 시
   ③ 무부하 선로 충전전류 차단 시
    ④ 송전선로의 부하 차단기 투입 시

(풀이) 이 문제는 이상전압이 어떤 경우에 가장 큰 지를 묻는 문제 입니다.
만약 이 문제에 대한 상식이 없을 때, 쉽게 푸는 방법은 일단 보기 4개를 다 읽습니다.
그런데 딱 봐도 차이나는 게 있네요.
유도성 소전류라는 것은 부하를 연결했고, 유도니까 지상 부하를 연결한 거예요.
수차발전기의 부하차단도 마찬가지로 부하가 연결된 상태구요.
송전선로의 부하차단기도 부하가 연결된 상태겠어요.
근데 3번 보기는 무부하상태이고, 충전전류 상태라는 거예요.
송전선로에서 무부하 상태, 즉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가압을 하게 되면 말이죠. 대지와 단자가 진상용콘덴서를 설치한 것 처럼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콘덴서가 없는데도 이 선로는 진상 회로가 되어 버리는 거예요.
이 상태로 인해 주는 녀석보다 받는 녀석, 즉 송전단보다 수전단이 더 전압이 높아지는 페란티라는 현상도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하여 내부 이상 시, 다른 경우보다 전압이 더 높아지게 되는 겁니다.
정답은 3번을 선택해주세요.

참고로 우리가 유도성 부하를 많이 설치해서 지상이 심해지게 되면, 수전측 전압이 낮아지게 되요.
그래서 진상콘덴서를 달아서 전압을 적정하게 맞춰줍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2회 전력공학 9번  (0) 2022.05.16
21년 2회 전력공학 8번  (2) 2022.05.13
21년 2회 전력공학 6번  (0) 2022.05.11
21년 2회 전력공학 5번  (0) 2022.05.11
21년 2회 전력공학 4번  (0)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