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현수애자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애자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클레비스 형과 (Clevis) 볼 소켓형이 있다.
② 애자를 표시하는 기호는 P이며 구조는 2~5층의 갓 모양 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그 자기를 주철재 base 로 지지한다.
③ 애자의 연결개수를 가감함으로써 임의의 송전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④ 큰 하중에 대하여는 2련 또는 3련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풀이) 현수애자에 대한 문제인데요.
이 문제는 현수애자에 대해서 모르면 풀 수 없는 문제 입니다.
반복해서 문제를 풀어 답을 찾아야 할 듯 합니다.
애자는 Isulator라고 해서 절연체, 즉 부도체를 의미하는데요.
애자는 전선을 지지물에 고정하는 것 외에 이름 그대로 절연의 목적이 있습니다.
특히, 철탑이나 전주에 애자가 없다면, 송전선의 전류가 철제나 포스트를 통해서 흐르게 될 것이고 사고가 발생할 거예요.
애자는 핀애자, 현수애자, 장간애자, 내무애자 등이 있는데요.
모양이 다른만큼 그 목적도 조금 차이가 있어요.
특히, 현수애자는 현이라는 것이 매단다라는 의미인데요.
연결방식에 따라 나사와 끼움 형식의 클레비스형과 고리형태의 소켓형으로 나누어집니다.
그리고 사용전압 별 현수애자의 개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22.9kV는 2개, 66kV는 4개, 154kV는 10개 내외, 345kV는 20개 내외, 765kV는 40개 내외 입니다.
이것을 물어보는 문제도 나오긴 합니다.
현수애자는 큰 하중에 따라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2련 3련 병렬로 연결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보기 2번은 핀애자에 대한 설명입니다.
핀애자는 직선 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해서 쓰는 애자인데요. 갓 모양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철재베이스를 써서 자기를 지지하고, 아연도금한 핀을 완금에 고정해서 사용합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사진은 별도로 찍거나 그려서 올릴께요.
인터넷 검색하면 많이 나오니 확인해보세요.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회 전력공학 10번 (0) | 2022.06.22 |
---|---|
22년 1회 전력공학 9번 (0) | 2022.06.22 |
22년 1회 전력공학 7번 (0) | 2022.06.21 |
22년 1회 전력공학 6번 (0) | 2022.06.20 |
22년 1회 전력공학 5번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