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2년 1회 전력공학 7번

기버보이 2022. 6. 21. 08:53

7. 다음 중 재점호가 가장 일어나기 쉬운 차단전류는?
① 지상전류② 진상전류 ③동상전류 ④단락전류

(풀이)
개폐서지는 차단기를 열고 닫을 때, 이상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그 중에서도 재점호는 무부하선로를 개방하거나 콘덴서 회로를 차단하거나 진상전류를 차단할 때, 즉 어떤 회로를 개방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예요.
원래는 차단기 개방시, 부하가 바로 차단되어야 하는데요.
재점호는 차단기를 차단했는데도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버리는 상태이죠.
용량성 부하에서 차단기를 열 때, 발생하는 현상을 재점호, 닫을 때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돌입전류가 발생했다고 하죠.
재점호는 구체적으로 진상전류를 가지고 있는 용량성 부하 회로의 차단기를 개방했는데도 서지로 인한 전압상승이 발생된 아크가 절연파괴를 일으켜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 상태라고 정의를 합니다.
원래 전류의 0지점에서 차단기가 차단이 되어야 하는데, 콘덴서나 리액터 같은 경우에 위상차가 생기다 보니, 그 발생된 차이이상의 서지전압이 발생하는 건데요.
유도성 부하고 진상전류인 리액터의 경우, 이 서지전압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지만, 용량성 충전부하고 지상전류인 콘덴서의 경우에는 이 서지전압이 커서 재점호가 발생할 확률이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정답은 2번으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회 전력공학 9번  (0) 2022.06.22
22년 1회 전력공학 8번  (0) 2022.06.21
22년 1회 전력공학 6번  (0) 2022.06.20
22년 1회 전력공학 5번  (0) 2022.06.17
22년 1회 전력공학 4번  (0) 2022.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