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급전선은 비절연보호도체, 매설접지도체,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
② 가공식은 전차선의 높이 이상으로 전차선로 지지물에 병가하며, 나전선의 접속은 직선접속을 원칙으로 한다.
③ 선상승강장, 인도교, 과선교 또는 교량 하부 등에 설치할 때에는 최소 절연이격거리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④ 신설 터널 내 급전선을 가공으로 설계할 경우 지지물의
취부는 C찬넬 또는 매입전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풀이) 급전선로와 귀선로에 대한 특징을 묻는 문제 입니다. 귀선로의 특징을 이야기 하는 1번이 틀린 답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전차관련된 문제는 직관적으로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인데요.
여기서 전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은 전차선 입니다. 그런데 이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용 변전소에서 온 전선을 급전선이라 해요.
그리고 전차에서 전류가 레일로 흐른 뒤 변전소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것을 귀선로라고 합니다.
즉, 위치적으로 보면 전차를 기준으로 급전선과 전차선은 가공으로 되어 있고, 귀선로는 전차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조금 더 이해가 쉽게 되실겁니다.
431.4 급전선로
1. 급전선은 나전선을 적용하여 가공식으로 가설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전기적 이격거리가 충분하지 않거나 지락, 섬락 등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급전선을 케이블로 하여 안전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가공식은 전차선의 높이 이상으로 전차선로 지지물에 병가하며, 나전선의 접속은 직선접속을 원칙으로 한다.
3. 신설 터널 내 급전선을 가공으로 설계할 경우 지지물의 취부는 C찬넬 또는 매입전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4. 선상승강장, 인도교, 과선교 또는 교량 하부 등에 설치할 때에는 최소 절연이격거리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431.5 귀선로
1. 귀선로는 비절연보호도체, 매설접지도체,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
2. 비절연보호도체의 위치는 통신유도장해 및 레일전위의 상승의 경감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 귀선로는 사고 및 지락 시에도 충분한 허용전류용량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기설비기술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7번 (0) | 2023.10.12 |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5번 (0) | 2023.09.13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3번 (0) | 2023.09.06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2번 (0) | 2023.09.04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번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