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고장보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고장보호는 일반적으로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② 고장보호는 인축의 몸을 통해 고장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③ 고장보호는 인축의 몸에 흐르는 고장전류를 위험하지 않은 값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④ 고장보호는 인축의 몸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지속시간을 위험하지 않은 시간까지로 제한하여야 한다.
(풀이) 감전보호는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합니다.
직접접촉을 예방하는 기본보호 그리고 간접접촉을 예방하는 고장보호 입니다. 문제의 보기에서 직접접촉인 기본보호를 설명하고 있는 틀린 보기 1번이 정답입니다.
112 용어정의
“고장보호(간접접촉에 대한 보호, Protection Against Indirect Contact)”란 고장 시 기기의 노출도전부에 간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인축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113.2 감전에 대한 보호
1. 기본보호
기본보호는 일반적으로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기설비의 충전부에 인축이 접촉하여 일어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기본보호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인축의 몸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
나. 인축의 몸에 흐르는 전류를 위험하지 않는 값 이하로 제한
2. 고장보호
고장보호는 일반적으로 기본절연의 고장에 의한 간접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가. 노출도전부에 인축이 접촉하여 일어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나. 고장보호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인축의 몸을 통해 고장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
(2) 인축의 몸에 흐르는 고장전류를 위험하지 않는 값 이하로 제한
(3) 인축의 몸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지속시간을 위험하지 않은 시간까지로 제한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기설비기술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6번 (0) | 2024.02.02 |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5번 (0) | 2024.01.30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3번 (0) | 2024.01.23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2번 (0) | 2024.01.22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1번 (1)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