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소호리액터를 송전계통에 사용하면 리액터의 인덕턴스와 선로의 정전용량이 어떤 상태로 되어 지락전류를 소멸시키는가?
① 병렬공진 ② 직렬공진
③ 고임피던스 ④ 저임피던스
(풀이) 지락전류가 발생하면 이 전류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변압기 중섬점에 리액터를 이용하여 접지를 하는데 이것을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방식의 특징은 리액터가 발생할 수 있는 선로의 정전용량과 상쇄되어 전류의 크기를 최소로 만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왜 직렬공진이 아니라 병렬공진이게 되면 직렬 공진을 하게 되면 전류의 크기가 최대가 되거든요.
이 부분은 회로이론을 공부하면 나오게 됩니다.
학술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이 문제를 이해할 때 병렬이게 되면 전류가 분배되니까 전류가 최소가 되겠네 하고 ① 병렬공진을 풀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직렬은 전류가 그대로 걸리니까 지락전류가 크니까 패스해버렸죠.
단답형 문제이지만 꼭 병렬공진을 선택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QI4fg/btq8rfXeNFu/waE262tMueNJ882tQ6qrT1/img.jpg)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 2회 전력공학 7번 (0) | 2021.07.07 |
---|---|
18년 2회 전력공학 6번 (0) | 2021.07.01 |
18년 2회 전력공학 3번 (0) | 2021.06.28 |
18년 2회 전력공학 4번 (0) | 2021.06.24 |
18년 2회 전력공학 2번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