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동기조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② 전압 조정이 연속적이다.
③ 중부하시에는 과여자로 운전하여 앞선 전류를 취한다.
④ 경부하시에는 부족여자로 운전하여 뒤진 전류를 취한다.
(풀이) 동기조상기에 대한 문제네요.
동기조상기를 알기 전 우리는 조상설비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조상설비는 진상콘덴서, 분로리액터, 동기조상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삼상 교류를 사용하다보니 부하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차이가 무효전력으로 나타납니다. 이 무효전력은 쓸 수 없는 전기로 전력 효율의 매우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 무효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특수설비를 설치해서 상의 위치를 조절하는데요. 이것을 조상설비라고 해요. 조상설비는 모두 부하나 선로에 병렬로 연결합니다. 특히, 동기조상기가 콘덴서나 리액터의 지상이나 진상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험에 잘 나옵니다만, 실무에서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라고 하네요.
(물론 리액터나 콘덴서도 잘 나오긴 합니다.;;)
동기조상기는 동기전동기라고 하는데요. 일종의 전동기(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하가 많은 지상부하인 낮에는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콘덴서를 부하가 적은 진상 부하인 밤에는 리액터를 가동하는데요. 동기조상기는 콘덴서와 리액터의 특성을 다 가지고 있어 진상과 지상에 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발전이나 변전 계통을 신설하거나 교체할 때, 시운전 개념으로 전기를 넣는 행위를 시충전 혹은 시송전이라고 하는데요. 대응력이 좋은 동기조상기는 시충전 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리액터나 콘덴서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그리고 동기조상기는 차단기나 스위치 투입으로 온오프하는 리액터나 콘덴서와 달리 전압조정이 유연하고 연속적입니다.
부하가 많은 중부하 시에는 지상성분이 많기 때문에 과여자를 하여 콘덴서처럼 진상 전류를 취하고요.
부하가 적은 경부하 시에는 진상성분이 많아서 부족여자를 통해 리액터처럼 지상 전류를 취합니다.
동기조상기는 리액터나 콘덴서에 비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모터다 보니 손실이 커서 전력량이 많은 단점이 있어요. 정답은 ①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풀이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 2회 전력공학 8번 (0) | 2021.07.08 |
---|---|
18년 2회 전력공학 7번 (0) | 2021.07.07 |
18년 2회 전력공학 5번 (0) | 2021.06.30 |
18년 2회 전력공학 3번 (0) | 2021.06.28 |
18년 2회 전력공학 4번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