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2번

12. 교류 전차선 등 충전부와 식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현장여건을 고려한 방호벽 등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이다.) ① 1 ② 3 ③ 5 ④ 10 (풀이) 이번 문제는 KEC 431.11에 대한 문제 입니다. 식물과의 이격거리는 여러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보고 익숙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면 전기울타리의 경우는 수목과의 이격거리를 0.3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교류 전차선 등 충전부와 식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5m 이상이라고 숙지하세요. 만약 방호벽 등 안전장치를 한 경우라면 그 이내가 될 수 있겠습니다.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431.11 전차선 등과 식물사이의 이격거리 교류 전차선 등 충전부와 식물사이의 이격거리는 5 m 이상이어야 한..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1번

11.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이 목주인 경우 풍압하중의 몇 배의 하중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야 하는가? ① 1.2 ② 1.5 ③ 2 ④ 3 (풀이) 풍압하중에 대한 문제 입니다. 풍압하중은 바람에 의해 전선로에 걸리는 수평하중을 의미합니다. 결국 풍압하중에 대한 안전율을 묻는 문제인데요. 풍압하중의 안전율은 가공전선로에만 적용되는 내용입니다. 아래 전압의 종별에 따라 풍압하중의 안전률이 다르고, 문제가 지금 문제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으니, 내용 참고해주세요. 정답은 1번 입니다. 222.8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강도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은 목주인 경우에는 풍압하중의 1.2배의 하중, 기타의 경우에는 풍압하중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332.7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0번

10. 애자공사에 의한 저압 옥측전선로는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1 ② 1.5 ③ 2 ④ 3 (풀이) KEC221.2에 옥측전선로의 애자공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참고하거나 깊게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전문을 다 넣어놨습니다. 아래 규정을 모두 숙지하고 있다면 좋겠지만, 시간적으로나 두뇌적으로나 이건 비효율적일 거예요. 그래서 다른 교재나 요약집에도 나와 있지만 저도 한번 더 짚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지지점간의 거리' 1. 합성수지관 1.5m 2. 애자 2m 3. 라이팅덕트 2m 4. 금속덕트 3m 5. 버스덕트 3m 6. 케이블 2m 7. 캡타이어케이블 1m 이 부분을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타인의 암기법이나 숙..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9번

9.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전력소비지역 부근에 분산하여 배치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등의 전원으로 정의되는 용어는? ① 임시전력원 ② 분전반전원 ③ 분산형전원 ④ 계통연계전원 (풀이) 'KEC 110 일반사항 112 용어정의'에 대한 내용 입니다. 문제에 답이 있는 문제인데요. 문제에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분산하여 배치라는 내용에서 센스있게 정답 3번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KEC에서 계통연계라는 의미는 있지만, 계통연계전원이라는 용어는 찾을 수가 없네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분산형전원”이란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전력소비지역 부근에 분산하여 배치 가능한 전원을 말한다. 상용전원의 정전시에만 사용하는 비상용 예비전원은 제외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등을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8번

8. 플로어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시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덕트의 끝부분은 막을 것 ②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③ 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덕트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은 물이 고이는 부분이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풀이) 정답을 찾자면 너무 쉬운 문제네요. 플로어덕트의 옥내배선공사를 이야기 하고 있는데 2번에서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KEC에서도 옥외용비닐절연전선은 제외한다고 기재되어 있죠. 정답은 2번이 됩니다. 232.32 플로어덕트공사 232.32.1 시설조건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 이하인 것은 그러하..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7번

7.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인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으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① 0.6 ② 1.0 ③ 1.2 ④ 1.5 (풀이) KEC 334 지중전선로에 대한 내용 입니다. 땅 아래로 케이슬을 시설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입니다. 직접 매설식은 줄임말로 직매식이라고도 합니다.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경우니까. 정답 2번 1.0m를 찾을 수 있습니다. 334 지중전선로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1. 지중 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관로식·암거식(暗渠式) 또는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2.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가.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6번

6. 최대사용전압이 23000V인 중성점 비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 인가? ① 16560 ② 21160 ③ 25300 ④ 28750 (풀이) KEC 132에 해당하는 내용 입니다. 시험전압은 최대전압에 KEC 132에서 규정하는 배율을 곱하게 되어 있는데요. 일단 아래표를 숙지해주시는 게 좋아요. 실기에서도 필기에서도 자주 나오고 나올 수 있는 문제내기 아주 좋은 문제 건든요. 세부사항까지는 아니더라도 아래 제가 그린 그림과 암기법을 넣었는데 더 좋고 자신에게 맞는 암기법이 있다면 활용하세요. 억지긴 하지만 한번 눈으로 라도 훑고 가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비접지에 최대사용전압이 25kV아래인 23kV니까 1.25를 곱하면 28,750V가 절연내력 시험 전압이 되겠습니다. 정답 4번이 ..

카테고리 없음 2023.09.26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5번

5. 진열장 내의 배선으로 사용전압 400V 이하에 사용하는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최소 단면적은 몇 mm2인가? ① 1.25 ② 1.0 ③ 0.75 ④ 0.5 (풀이) KEC 234.8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배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문제는 규정을 암기해야만 풀이가 가능한 문제 입니다. 정답은 3번 이며, 다회독 하면서 익숙해지세요. 234.8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배선 1.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에 사용전압이 400 V 이하의 배선을 외부에서 잘 보이는 장소에 한하여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로 직접 조영재에 밀착하여 배선할 수 있다. 2. 제1의 배선은 단면적 0.75 ㎟ 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4번

4.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급전선은 비절연보호도체, 매설접지도체,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 ② 가공식은 전차선의 높이 이상으로 전차선로 지지물에 병가하며, 나전선의 접속은 직선접속을 원칙으로 한다. ③ 선상승강장, 인도교, 과선교 또는 교량 하부 등에 설치할 때에는 최소 절연이격거리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④ 신설 터널 내 급전선을 가공으로 설계할 경우 지지물의 취부는 C찬넬 또는 매입전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풀이) 급전선로와 귀선로에 대한 특징을 묻는 문제 입니다. 귀선로의 특징을 이야기 하는 1번이 틀린 답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전차관련된 문제는 직관적으로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인데요. 여기서 전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은 전차선 입니..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3번

3. 사용전압이 22.9㎸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그 지지물·완금류· 지주 또는 지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15 ② 20 ③ 25 ④ 30 (풀이) KEC 333.5 에 해당하는 내용 입니다. 일단 표에서 찾으면 2번 0.2m 즉, 20cm가 되겠습니다. 특고압이면 7kV초과하는 전압인데요. 대표적인 공칭특고압은 아래와 같아요. 22.9kV, 66kV,154kV, 345kV, 765kV 그런데 이 전압들을 아래표에서 찾으면 0.2, 0.4, 0.9, 1.6, 1.6 이예요. 즉, 소수점 첫째짜리 딱 떨어집니다. 그래서 단위 환산했을 때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간 1번 3번은 일단 탈락입니다. 이렇게 기억하면 정답률을 조금 더 높일 수 있고요. 이것도 싫다 하시면 22.9kV 와 154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