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22년 1회 전력공학 20번

20. 발전기 또는 주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① 거리 계전기② 과전류 계전기 ③ 비율차동 계전기④ 방향단락 계전기 (풀이) 발전기 및 주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으로 쓰는 계전기는 발전기나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를 비교하는 비율차동계전기 밖에 없습니다. 현업에서는 변압기의 경우 87T, 발전기의 경우 87G라고 부릅니다. 1차측 전류값과 2차측 전류가 설정치 이상 차이가 나게 되면 계전기를 동작시켜서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22년 1회 전력공학 19번

19. 유효낙차 90m, 출력 104500㎾, 비속도(특유속도) 210m·㎾인 수차의 회전속도는 약 몇 rpm인가? ① 150② 180 ③ 210④ 240 (풀이) 수차의 비속도를 통한 수차의 회전속도를 묻는 문제네요. 이 문제는 안타깝게도 공식을 외워야만 풀 수 있는 문제 입니다. 비속도, 즉 특유속도는 실제 수차와 닮은 모형 수차를 1m 낙차에서 1kW의 출력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1분간의 회전수를 의미하는데요. 특유속도가 크다는 것은 실제 수차도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겠어요. 정답은 2번이고, 이런 문제가 나오면 전 공식에 수치를 먼저 넣고, 간소화 한 후 계산을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2년 1회 전력공학 18번

18. 초호각(Arcing horn)의 역할은? ① 풍압을 조절한다. ② 송전 효율을 높인다. ③ 선로의 섬락 시 애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④ 고주파수의 섬락전압을 높인다. (풀이) 초호각은 소호각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아킹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아킹링이라는 것도 있는데 초호환 또는 소호환이라고 부릅니다. 두 설비 다 애자를 보호하기 위한 설비 입니다. 만약 철탑에 섬락이 발생해서 애자를 직격하게 되면 과전압으로 인해 애자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애자를 보호하기 위해 애자에 상단과 하부에 초호각을 설치해주는 데요. 과전압 발생 시, 애자 방향이 아닌 초호각으로 전압을 유도해서 방전시키는 원리 입니다. 따라서 애자가 보호가 되겠습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초호각이나 초호환, 아킹혼이나 아킹..

22년 1회 전력공학 17번

17. 다음 중 환상(루프) 방식과 비교할 때 방사상 배전선로 구성 방식에 해당되는 사항은? ① 전력 수요 증가 시 간선이나 분기선을 연장하여 쉽게 공급이 가능하다. ② 전압 변동 및 전력손실이 작다. ③ 사고 발생 시 다른 간선으로의 전환이 쉽다. ④ 환상방식 보다 신뢰도가 높은 방식이다. (풀이) 배전방식에는 방사식, 환상식, 망상식, 저압뱅킹방식 등이 있어요. 그 중에서 방사식과 환상식(루프식)을 비교한 문제 입니다. 방사식은 수지식이나 트리식이라고도 하고, 가장 기본적인 배전방식 구성이예요. 그래서 전기를 한 방향으로만 공급을 하게 되는데요. 이것은 초기 투자비를 적게 하고, 시스템 자체가 단순해서 증설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전압강하나 전력손실도 크고, 전압변동률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요. ..

22년 1회 전력공학 16번

16. 송전단 전압이 100V, 수전단 전압이 90V인 단거리 배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약 얼마인가? ① 5② 11 ③ 15④ 20 (풀이) 전압강하율 문제네요. 이런 문제는 그냥 주는 문제이기 때문에 절대 틀리시면 안되세요. 전압강하율이 수전단 전압 기준 대기 전압강하가 얼마나 되냐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 인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수전단 전압이 분모로 가는 거예요. 그리고 전압강하가 분자로 가죠. 근데, 둘 다 단위가 볼트이기 때문에 단위도 약분이 되고요. 이것을 무단위가 되었다고 하는데요. 무단위에 곱하기 100을 하게 되면 %가 된답니다. 즉, 퍼센트는 분자와 분모의 단위가 같아서 무단위가 될 때만 쓸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가볍게 계산기 눌러주면 정답 2번을 찾을 수 있어요.

22년 1회 전력공학 15번

15. 경간이 200m인 가공 전선로가 있다. 사용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몇 m 더 길게 하면 되는가? (단, 사용전선의 1m 당 무게는 2㎏, 인장하중은 4000㎏, 전선의 안전율은 2로 하고 풍압하중은 무시한다.) ① 1/2 ② √2 ③ 1/3 ④ √3 (풀이) 일단 이 문제는 공식을 알아야 풀수 있는데요. 송전선로 가설과 관련된 문제 입니다. 일단, 아래 그림에서 처럼 각 용어가 어디를 나타내는 지 알아야 해요. 그리고 자기가 편한 방법으로 암기를 하면 되는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이도같은 경우에, (W)월드컵에 (S)손흥민같은 선수 (2)2명 있으면 (8)8강 (T)토너먼트 갈 수 있다. 라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공식 암기를 권해드려요. 하나 더 하자면 전선한 늘어난 길이는 공식의 앞뒤를 짤라서 (8..

22년 1회 전력공학 14번

14. 부하회로에서 공진 현상으로 발생하는 고조파 장해가 있을 경우 공진 현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① 진상용 콘덴서② 직렬 리액터 ③ 방전코일④ 진공 차단기 (풀이) 부하회로에서 고조파 장해가 있을 경우를 물었는데요. 진상용콘덴서는 부하에 병렬로 연결해서 부하의 지상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이지만, 제 5고조파 발생 설비입니다. 그래서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 콘덴서용량의 이론적 4%, 실제는 여유를 좀더 줘서 6%의 직렬 리액터를 설치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2번 입니다. 방전코일은 충전된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는 설비입니다. 진공차단기는 차단기의 종류 중 하나 입니다.

22년 1회 전력공학 13번

13. 다음 중 동작속도가 가장 느린 계전 방식은? ① 전류 차동 보호 계전 방식 ② 거리 보호 계전 방식 ③ 전류 위상 비교 보호 계전 방식 ④ 방향 비교 보호 계전 방식 (풀이) 동작속도가 가장 느린 계전기를 찾는 문제네요. 일단, 거리보호계전기를 제외한 계전기들의 감지부와 동작부 간의 거리가 짧은 반면, 거리계전기는 송전선로 보호용으로 계전기 설치부에서 동작점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동작속도로 느립니다.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설치점의 전압과 전류의 비로 나타낸 것인데요. 임피던스 계전기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22년 1회 전력공학 12번

12. 불평형 부하에서 역률(%)은? (풀이) 일단, 문제에서 역률을 구하라고 했네요. 역률은 유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나눈 거죠? 자, 그럼 일단 보기 2,3번은 정답이 아니네요. 그럼 1번 아니면 4번인데요. 평형부하든 불평형 부하든 피상전력의 합은 산술합이 아니라 벡터합이예요. 왜냐하면 전기는 크기와 방향을 표기하는 학문이거든요. 그래서 단순히 더하는 산술합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요. 산술합은 크기만 합친다는 의미거든요. 정답은 4번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22년 1회 전력공학 11번

11. 3상 1회선 송전선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한 3상 선로의 자기인덕턴스를 구하는 식은? (단, D는 전선의 선간거리(m), r은 전선의 반지름(m) (풀이) 인덕턴스의 공식을 모르면 풀 수 없는 문제 입니다. 외우면 좋겠지만, 눈으로 익히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자주 보세요. 더불어 정전용량 공식도 알아두면 좋은데요. 공식을 외우는 것 말고도 비례관계에 대해서도 잘 아는 것도 중요하세요. 즉, 인덕턴스는 전선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이격거리가 클수록 커진다.라는 의미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해요. 정답은 3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