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22년 2회 전력공학 10번

10. 저압뱅킹 배전방식에서 캐스케이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 변압기를 연락하는 저압선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① 구분퓨즈② 리클로저 ③ 섹셔널라이저④ 구분개폐기 (풀이) 저압뱅킹 방식은 고압배전선로에 접속된 2대 이상이 변압기의 저압간선을 병렬로 접속하는 방식인데요. 이것을 사용하면 전력사용의 공용화로 변압기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전압변동 및 전력손실이 경감될 수 있는데요. 문제는 아무래도 저압측 간선을 연결하다 보니, 문제 발생 시, 건전한 다른 계통까지 영향을 주고, 사고 파급효과가 크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캐스캐이딩 현상이 일어나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압 및 저압측, 그리고 필요개소에 퓨즈를 설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 되겠습니다.

22년 2회 전력공학 9번

9. 배전선로의 역률 개선에 따른 효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선로의 전력손실 경감 ② 선로의 전압강하의 감소 ③ 전원측 설비의 이용률 향상 ④ 선로 절연의 비용 절감 (풀이) 교류를 사용하는 전기에는 역률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요. 직류전기에는 역률의 개념이 없어요. 역률은 쉽게 생각해서 전기적인 효율로 생각하시면 좋을 듯 해요. L이나 C관련 부하를 사용하게 되면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발생을 하는데요. 이 위상차에 COS의 값을 넣어 계산하는 것이 역률이라는 거죠. 즉,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같은 위치에 있으려 할 때, 우리는 역률이 좋다 나쁘다를 평가할 수가 있는 거예요. 이 같은 위치에 서는 것을 동일한 상위치에 있다해서 동상이라고 표현하는데요. 동상에 가까울수록 즉, 역률 값이 100%에 가..

22년 2회 전력공학 8번

8. 전력계통의 안정도에서 안정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정태 안정도② 상태 안정도 ③ 과도 안정도④ 동태 안정도 (풀이) 안정도 종류에 대한 문제네요. 정태 안정도, 과도 안정도, 동태안정도 인데요. 단답형이기 때문에 정답은 무관한 2번을 선택하시면 되는데요. 정태 안정도란, 계통이 아주 정적인 상태, 즉 아무런 사고가 없고 부하변동이 아주 적은 상태의 전력공급능력을 말합니다. 과도 안정도란, 계통이 과도상태, 즉 계통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격한 부하변동이 있는 상태의 전력공급 능력을 말해요. 동태 안정도란, 계통에 동적인 전기장치, 즉 AVR이나 조속기 등을 시설하였을 때의 전력공급 능력을 의미합니다.

22년 2회 전력공학 7번

7. 보호계전기의 반한시ㆍ정한시 특성은? ① 동작전류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 ② 최소 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특성 ③ 동작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에 동작하는 특성 ④ 동작전류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아지며, 어떤 전류 이상이 되면 동작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에서 동작하는 특성 (풀이) 보호계전기 특성에 대해서 나왔네요. 반한시 정한시는 반한시 특성과 정한시 특성이 다 있는 특성이겠어요. 그러면 반한시의 반은 반대되는 특성 입니다. 즉, 동작전류와 동작시간이 반대되는 특성이라는 거죠. 동작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은 짧을테고, 동작전류가 작으면 동작시간은 긴 특성 입니다. 그리고 정한시의 정은 정한다는 특성이예요. 정한 전류에 도달하면 일정시간 후에 동작..

22년 2회 전력공학 6번

6. 정전용량 0.01μF/km, 길이 173.2km, 선간전압 60kV, 주파수 60Hz인 3상 송전선로의 충전전류는 약 몇 A 인가? ① 6.3② 12.5 ③ 22.6④ 37.2 (풀이) 일단 이 문제에 대한 이해를 하자면요. 문 외긴 하지만, 여기서 사용되는 정전용량은 작용정전용량 입니다. 이는 전선 간 정전용량인 Cm과 전선과 대지 간 정전용량인 Cs를 합친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전체 정전용량 C가 구해지게 되는데, 여기서 C는 단위 km당 정전용량으로 0.01μF/km가 조건에서 나왔기에 거리만 곱해주면 C가 나오겠습니다. 그리고 전류는 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눠주면 되는데, 주의할 점은 전압은 상전압이예요. 문제에서 선간전압을 줬기 때문에 루트3으로 나눠줘야 하고요. 임피던스는 정전용량만 있기 ..

22년 2회 전력공학 5번

5. 부하전류가 흐르는 전로는 개폐할 수 없으나 기기의 점검이나 수리를 위하여 회로를 분리하거나, 계통의 접속을 바꾸는데 사용하는 것은? ① 차단기② 단로기 ③ 전력용 퓨즈④ 부하 개폐기 (풀이) 5번은 개폐장치에 대한 이야기 인데요. 여기서 힌트는 부하전류의 개폐가 불가능하다는 거에 있어요. 차단기는 정격전류 이상되면 차단하는 장치이고, 퓨즈는 정격전류가 초과되면 용단, 즉 끊어지는 장치이죠. 그리고 부하 개폐기는 정격전류 미만에서 부하를 개폐하는 장치 입니다. 그런데 단로기는 차단기 아래 위치하고 있어서 차단기가 차단 된 후에 개폐가 가능한 장치 입니다. 이중 안전을 위해서 단로기를 작동 후에 점검이나 수리를 진행 합니다. 즉, 무부하 개폐장치라고 할 수 있어요. 따라서 정답은 2번 단로기 이고요.

22년 2회 전력공학 4번

4. 밸런서의 설치가 가장 필요한 배전방식은? ① 단상 2선식② 단상 3선식 ③ 3상 3선식④ 3상 4선식 (풀이) 일단 정답부터 이야기하면 2번 단상 3선식인데요. 밸런서라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단상 3선 밖에 없습니다. 그럼 왜 단상 3선식을 쓸까요? 경제성의 원리인데요. 변압기 없이도 중간에 중성선만 설치하면, 전압을 두 개 얻을 수 있거든요. 보통은 110V와 220V를 얻을 때 사용합니다. 1선당 공급전력도 단상2선식 대비 133%나 크고요. 전선소요량도 단상 2선식 대비 37.5%나 큽니다. (결선 방식에 대한 비교 시 기준은 단상 2선식 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중성선이 단선되면 전압불평형이 생겨 버립니다. 그래서 저압밸런서라는 권수비 1대1의 단권변압기를 저압선 말단에 설치하는데요. ..

22년 2회 전력공학 3번

3. 단락 보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방사상 선로의 단락 보호방식에서 전원이 양단에 있을 경우 방향 단락 계전기와 과전류 계전기를 조합시켜서 사용한다. ② 전원이 1단에만 있는 방사상 송전선로에서의 고장 전류는 모두 발전소로부터 방사상으로 흘러나간다. ③ 환상 선로의 단락 보호방식에서 전원이 두 군데 이상 있는 경우에는 방향 거리 계전기를 사용한다. ④ 환상 선로의 단락 보호방식에서 전원이 1단에만 있을 경우 선택 단락 계전기를 사용한다. (풀이) 이 문제는 아래 표를 암기하고 있으면 답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여러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아래표를 기억하시면 문제 푸시는 데 도움이 되실 거예요. 저는 릴레이라는 R도 귀찮아서 앞자만 따서 기억하는데요. OC DS DZ이런 식으로 기억합니..

22년 2회 전력공학 2번

2. 전력용 콘덴서에 비해 동기조상기의 이점으로 옳은 것은? ① 소음이 적다. ② 진상전류 이외에 지상전류를 취할 수 있다. ③ 전력손실이 적다. ④ 유지보수가 쉽다. (풀이) 동기조상기는 위상을 조절할 수 있는 설비인데요. 일종의 모터, 즉 회전기기예요. 그래서 부하의 상황에 따라 리액터도 되고 콘덴서가 되는 전기설비 입니다. 전력용콘덴서가 불연속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조상설비인데 비해, 동기조상기는 회전기기이기 때문에 연속으로 조절하는 조상설비 입니다. 여기서 조상설비란, 위상을 조절하는 설비라는 의미 입니다. 당연히 동기조상기가 모터다 보니 시끄럽고, 회전기이다 보니 전력도 전력용콘덴서에 비해 더 소비하게 됩니다. 구조도 콘덴서 대비 복잡해서 유지보수도 어렵죠. 그러나 낮시간 때의 부하를 많이 쓰는 중..

22년 2회 전력공학 1번

1.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전압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① 직류전압의 크기② 충격파의 평균치 ③ 충격파의 최대치④ 충격파의 실효치 (풀이) 충격방전 개시전압은 피뢰기 단자에 충격파 전압이 인가되서 방전이 일어나는 전압을 의미하는데요. 용어가 어렵지만, 이 충격파의 최대치가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 전압이 됩니다. 정답은 3번인데, 만약 전력공학에서 어떤 수치냐는 단답형을 물어볼 때 모르면 최대치나 최대값을 선택해도 괜찮을 겁니다. 왜냐하면 전기설비는 최대값을 기준으로 설계가 대부분 되니까요. 충격방전 개시전압은 사고가 낮을 때, 기기 손실을 막기 위해서 낮아야 하고 반면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은 일반 상황에서 방전이 되지 않게 높아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충격방전 개시전압은 충격파의 최대치로 표현이 되는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