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8

21년 2회 전력공학 9번

9. 저압배전선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저압 뱅킹 방식은 전압변동을 경감할 수 있다. ② 밸런서(balancer)는 단상 2선식에 필요하다. ③ 부하율(F)와 손실계수(H) 사이에는 1≥F≥H≥F2≥0의 관계가 있다. ④ 수용률이란 최대수용전력을 설비용량으로 나눈 값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풀이) 저압배전선로에 대한 문제인데요. 저압을 배전하는 방식에는 방사식, 환상식, 망상식, 저압 뱅킹 방식이 있어요. 저압 뱅킹 방식은 변압기들의 2차측을 서로 접속을 시켜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전압변동을 적게 할 수 있고, 공급 신뢰도가 좋게 됩니다. 그러나 고장 계통 사고 시, 건전한 계통까지 사고가 파급되는 현상인 캐스캐이딩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어요. 밸런..

21년 2회 전력공학 8번

8. 그림과 같은 송전계통에서 S점에 3상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A)는 약 얼마인가? (단, 선로의 길이와 리액턴스는 각각 50㎞, 0.6Ω/㎞이다.) ① 224 ② 324 ③ 454 ④ 554 (풀이) 이 문제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문제인데요. 공부를 하시다 보면, 이런 계산 문제가 말로 헷갈리게 하는 문제보다 반가울 때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실기에서도 잘 출제되는 문제이고, %Z와 단락전류, 정격전류의 관계에 대해 알아야 하고, 임피던스의 병렬연결 계산, 마지막으로 %Z의 변형식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 입니다. 이 세가지가 개별적으로 묻는 문제도 많이 있어서 꼭 풀어보시길 바래요. 아래 풀이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정답은 4번 입니다.

21년 2회 전력공학 7번

7. 전력계통에서 내부 이상전압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① 유도성 소전류 차단 시 ② 수차발전기의 부하 차단 시 ③ 무부하 선로 충전전류 차단 시 ④ 송전선로의 부하 차단기 투입 시 (풀이) 이 문제는 이상전압이 어떤 경우에 가장 큰 지를 묻는 문제 입니다. 만약 이 문제에 대한 상식이 없을 때, 쉽게 푸는 방법은 일단 보기 4개를 다 읽습니다. 그런데 딱 봐도 차이나는 게 있네요. 유도성 소전류라는 것은 부하를 연결했고, 유도니까 지상 부하를 연결한 거예요. 수차발전기의 부하차단도 마찬가지로 부하가 연결된 상태구요. 송전선로의 부하차단기도 부하가 연결된 상태겠어요. 근데 3번 보기는 무부하상태이고, 충전전류 상태라는 거예요. 송전선로에서 무부하 상태, 즉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가압을 하게 되면 말이..

21년 2회 전력공학 6번

6. 부하전류 차단이 불가능한 전력개폐 장치는? ① 진공차단기② 유입차단기 ③ 단로기④ 가스차단기 (풀이) 너무 쉬운 문제네요. 차단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은 차단기라는 단어가 있으면 차단이 가능한 건데 단로기는 차단기라는 단어가 없죠. 그래서 답은 3번인데요. 단로기는 무부하개폐 장치예요. 즉, 차단기 뒤에 설치하고, 이중안전을 위해서 설치하는 거죠. 차단기 뒤에 단로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부하 점검이나 보수를 위해서 통전상태에서 차단기를 내리고요. 그 후 무부하상태, 비통전상태가 되면 단로기를 내려서 완전 전류가 흐를 수 없게 해요. 점검이나 보수를 하고요. 단로기를 다시 올려요. 차단기가 내려 있으니까 이때도 비통전 상태예요. 그 후 차단기를 올려서 통전을 하는거죠. 이 순서도 실기에서 물어보니까, 잠..

21년 2회 전력공학 5번

5. 증기터빈내에서 팽창 도중에 있는 증기를 일부 추기하여 그것이 갖는 열을 급수가열에 이용하는 열사이클은? ① 랭킨사이클② 카르노사이클 ③ 재생사이클④ 재열사이클 (풀이) 화력발전소에서 어떤 열사이클을 이용하는 지 묻는 문제네요. 일단 가장 이상적인 열사이클은 카르노 사이클 이예요. 그래서 실존할 수 없어요. '카르노사이클은 이상적인 거다.'라고 알고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실제적으로 열사이클을 만들어볼까 하고 만든게 랭킨사이클이예요. 가장 기본적인 사이클이예요. 이상적인 것을 가지고 만들었으니까, 효율이 안좋겠네요. 효율이 안좋고 기본적인 사이클은 랭킨사이클 이라고 기억하시구요. 재생사이클은 급수를 가열하는 사이클이예요. 버려지는 증기에 추기관을 연결해서 급수펌프의 이후의 급수가열기에서 급수를 ..

21년 2회 전력공학 4번

4. 3상용 차단기의 정격 차단 용량은? ① √3×정격 전압×정격 차단 전류 ② 3√3×정격 전압×정격 전류 ③ 3×정격 전압×정격 차단 전류 ④ √3×정격 전압×정격 전류 (풀이) 정격차단용량이란, 3상이기 때문에 루트3 곱하기 정격전압 곱하기 정격차단용량을 의미합니다. 즉, 정격차단용량이기에 정격차단전류를 써야 되는 거죠. 이 정격차단전류는 실무에서는 카, 'kA'라고 부르는데요. 차단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예요. 일반적으로 차단기 버튼쪽에 있는 A는 정격전류와 관련 있는 개념이예요. 20A차단기면 20A넘게되면 차단기가 OPEN되는 거죠. 그런데 정격차단전류는 내구성의 개념이예요. 차단기에 5kA라고 적혀있으면, 단락전류와 같은 대전류가 들어왔을 때, 5kA 이내 까지는 차단기가 버티나 그 이상을..

21년 2회 전력공학 3번

3. 컴퓨터에 의한 전력조류 계산에서 슬랙(slack)모선의 초기치로 지정하는 값은? ①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 ② 전압 크기와 유효 전력 ③ 전압 크기와 위상각 ④ 전압 크기와 무효 전력 (풀이) 슬랙모선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몰라서 공부를 더 해야할 듯 한데요. 문제를 풀기 전, 전력조류(Power Flow)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전력조류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송배전 선로를 통해 수용가까지 전송 후 소비가 되는데, 이러한 흐름을 전력조류라고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슬랙모선이라는 것은 전력계통 내 손실분을 흡수 조정하는 모선인데요. 계통 내 송전손실이 얼마인지 모르기 때문에 슬랙모선을 통해 손실분을 관리하여 전력조류를 유연하게 계산하도록 한다고 합니다. 문제에서 SLACK모선이라는 단어가..

21년 1회 전력공학 2번

2. 역률 0.8(지상)의 2800kW 부하에 전력용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여 합성역률을 0.9로 개선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kVA)은 약 얼마인가? ① 372 ② 558 ③ 744④ 11 (풀이)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계산 문제는 출제도 자주되고, 실기에서도 잘 물어보는 문제인데요. 이 문제를 푸는 데 필요한 부분은 간단한 수학 포인트 2개예요. 첫번째로 탄젠트의 변환과 코사인과 사인을 각각 제곱해서 더하면 1이라는 거예요. 풀이를 보고 차근히 풀면 됩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21년 2회 전력공학 1번

1. 가공송전선로에서 총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도체와 비교하여 복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안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②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③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감소시켜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④ 선로의 인덕턴스가 감소되고 정전용량이 증가해서 송전용량이 증대된다. (풀이) 가공 송전선로의 상당 도체수에 따라 크게 단도체-복도체-다도체로 나눌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단도체는 '혼자 단'을 써서 단일도체를 의미하는 거예요. 그리고 복도체는 '겹 복, 이중 복'이라는 의미로 도체가 2개인 이중도체를 의미해요. 그리고 다도체는 '많을 다'를 써서 다중도체를 의미 합니다. 복도체를 쓴다는 것은 인덕턴스를 줄인다는 이야기 입니다. 반대로 정전용량, 캐패시턴스는 늘어나게 됩니다. 그..

21년 1회 전력공학 20번

20. 송전선로의 고장전류 계산에 영상 임피던스가 필요한 경우는? ① 1선 지락 ② 3상 단락 ③ 3선 단선④ 선간 단락 (풀이) 사고에 대해 어떤 대칭분이 있는 지 풀 수 있는 문제인데요. 전기에서 사고라 하면 지락사고, 단락사고로 나눌 수 있어요. 그런데 사고에 따라서 대칭분이 다르게 나타내는데요. 1선 지락사고나 2선 지락사고 시에는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이 모두 존재하고요. 선간단락사고 시에는 정상분과 역상분이 존재 합니다. 그리고 3상 단락사고 시에는 정상분만 존재하게 되죠. 그래서 지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영상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정답은 1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