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8

19년 3회 전력공학 10번

10. 각 전력계통을 연계선으로 상호 연결하였을 때 장점으로 틀린 것은? ① 건설비 및 운전경비를 절감하므로 경제급전이 용이하다. ② 주파수의 변화가 작아진다. ③ 각 전력계통의 신뢰도가 증가된다. ④ 선로 임피던스가 증가되어 단락전류가 감소된다. (풀이) 각 계통을 연계선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병렬운전을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계통 연계하게 되면 연계선 외 별도의 장비 및 건설비가 필요하지 않으니까, 경제 급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부하가 많아지다 보니, 주파수의 변동도 낮아지게 됩니다. 전력부하에 문제가 생기면 연계된 곳만 제외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하면 되니까, 전력공급의 신뢰도도 높아지게 됩니다. 그런데, 병렬로 부하를 연결하면 전체 부하 임피던스는 낮아지게 되고 IS=V/Z에 의해서 단락전류는 상승하게..

19년 3회 전력공학 9번

9. 연가에 의한 효과가 아닌 것은? ① 직렬공진의 방지 ② 대지정전용량의 감소 ③ 통신선의 유도장해 감소 ④ 선로정수의 평형 (풀이) 3상 송전을 할 때 송전단에서 대칭전압을 인가해도 선로정수 불평형으로 인해 수전단에서 전압 불평형이 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지형이나 각 상의 선간거리나 높이가 달라서 발생되게 됩니다. 그래서 송전선로 중간에 개폐소 혹은 연가용 철탑을 이용해 각 선의 배치를 변경합니다. 연가를 하게 되면 3상의 임피던스가 평형이 되면서 선로정수가 평형이 되고, 그로 인해 통신선 유도장해도 감소가 됩니다. 그리고 소호리액터 접지 시, 리액터 접지선과 각 상의 대지정전용량의 직렬공진으로 인해 대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시켜 줍니다. 그러나, 연가는 각 상의 배치를 바꿔서 평행..

19년 3회 전력공학 8번

8. 원자로에서 중성자가 원자로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위험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방열의 효과를 주기 위한 것은? ① 제어재 ② 차폐재 ③ 반사체 ④ 구조재 (풀이) 이 문제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원자로에 대한 문제인데, 단답형으로 깊게 공부하는 것보다는 답을 암기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중성자가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것이 반사재와 차폐재인데요. 반사재는 말그대로 반사를 시켜서 중성자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 설비이고, 차폐재는 반사재를 뚫고 나가는 중성자를 바깥쪽에서 납이나 콘크리트의 재료를 통해 흡수시켜서 유출위험을 막는 설비라고 합니다.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흡수시키는 설비이고 막는다는 개념이 들어오면 차폐재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답은 2번 차폐재가 되겠습니다. 좋은 블로그 자..

19년 3회 전력공학 7번

7. 변성기의 정격부담을 표시하는 단위는? ① W ② S ③ dyne ④ VA (풀이) 계기용 변성기란,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MOF)를 총칭해서 의미하는 말입니다. PT, CT, MOF 모두 계기용 변성기라고 할 수 있고, 특히 MOF는 CT와 PT를 조합해놓은 것을 말합니다. 정격부담이란, 변성기의 2차측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부하의 한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피상전력의 단위인 VA를 사용합니다. S는 지멘스라고 부르며, 도전율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저항의 역수이며, 지멘스값이 클수록 전류가 더 잘 흐르게 됩니다. W는 유효전력의 단위고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한 값 입니다. dyne는 다인이라고 부르고,기호는 dyn으로 써요. 힘의 단위이며, 1dyn=10..

19년 3회 전력공학 6번

6. 수력발전소의 분류 중 낙차를 얻는 방법에 의한 분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댐식 발전소 ② 수로식 발전소 ③ 양수식 발전소 ④ 유역 변경식 발전소 (풀이) 댐이나 수로 그리고 유역변경식은 모두 물의 낙차를 이용하는 발전방식입니다. 지형이나 흐름을 이용한 방식인데요. 양수식은 좀 달라요. 양수식은 전력수요가 적은 시간대에 펌프를 이용해 물은 고지대로 올렸다가 전력수요가 많은 시간대에 수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예요. 전력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라 다른 보기와 차이를 두어요. 정답은 3번입니다. 외우는 방법은 댐이나 수로나 수로변경을 하려면 위에서 아래로 문을 열어야 되는데, 양수식은 양쪽손으로 드는 방식이니까 댐을 수평으로 열겠네요. 그럼 낙차가 아니니까, 3번이네요. 억..

19년 3회 전력공학 5번

5. 3상 무부하 발전기의 1선 지락 고장 시에 흐르는 지락 전류는? (단, E는 접지된 상의 무부하 기전력이고, Z0, Z1, Z2는 발전기의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이다.) (풀이) 1선 지락 고장 시, 흐르는 지락전류를 묻는 문제입니다. 별도로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지만, 조금 복잡하기도 하고, 유도하다가는 시험시간이 매우 아까우실 거예요. Ig=3I0라는 사실을 공식처럼 알고 있으면 바로 정답인 3번을 찾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Z0, Z1, Z2를 각각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라고 부르고, 전압을 임피던스의 총합으로 나누어 준 것이 영상정류 I0가 되는 거예요. 사진이 안들어가서 계산풀이나 유도는 추후에 넣을께요

19년 3회 전력공학 4번

4. 플리커 경감을 위한 전력 공급측의 방안이 아닌 것은? ① 공급전압을 낮춘다. ② 전용 변압기로 공급한다. ③ 단독 공급계통을 구성한다. ④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풀이) 플리커란, 깜빡거림을 이야기 하는 건데요. 부하특성으로 인한 전압의 변동으로 조명이나 깜빡이거나 TV가 일그러지는 현상을 발생시킵니다. 이 현상을 막기위해서 전력공급 측에서는 공급전압을 승압하고, 전용계통 및 변압기로 공급을 해야 됩니다. 그리고 단락용량이 큰 계통, 즉 내부 임피던스가 작은 변압기를 채택하여 전압강하를 낮춰야 합니다. 수용가 측에서는 전원계통의 리액터를 보상해야 됩니다. 주로 직렬 리액터를 설치해서 보상을 합니다. 그리고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승압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무효전력으로 생기는 전력변동..

19년 3회 전력공학 3번

3. 부하전류의 차단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DS ② ACB ③ OCB ④ VCB (풀이) 뒤에 CB가 붙어있는 전기설비는 차단기예요. 차단기는 정상적인 부하전류에서 개폐가 가능한 설비입니다. 더불어 과전류나 단락전류 같이 이상전류에도 동작을 합니다. 그런데, DS는 스위치류 중 하나이고, 특징은 무부하 상태에서의 개폐를 할 수 있는 장비예요. 위치는 차단기 밑에 위치하고 있어요. 차단기가 열린 상태, 즉 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합니다. 이 중 보호 장치라고 생각하면 되구요. 차단기를 꺼놓은 상태에서 전기점검이나 작업을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한 전기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 되겠습니다. 추후보충 차단기 단로기 개폐기 퓨즈 표 넣기 단선도 상 단로기 위치 넣어주기

19년 3회 전력공학 2번

2. 가공지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유도뢰 서지에 대하여도 그 가설구간 전체에 사고방지의 효과가 있다. ② 직격뢰에 대하여 특히 유효하며 탑 상부에 시설하므로 뇌는 주로 가공지선에 내습한다. ③ 송전선의 1선 지락 시 지락전류의 일부가 가공지선에 흘러 차폐작용을 하므로 전자유도장해를 적게 할 수 있다. ④ 가공지선 때문에 송전선로의 대지정전용량이 감소하므로 대지사이에 방전할 때 유도전압이 특히 커서 차폐 효과가 좋다. (풀이) 가공지선에 대한 설명이네요. 가공지선은 전주 상단에 있는 전선인데요. 철탑이나 전주에 따라서 하나 있는 것도 있고, 둘 이상 있는 것도 있어요. 송전선과 같이 보통 같은 전선인 ACSR을 주로 사용합니다. 용도는 직격뢰나 유도뢰가 전주에 영향을 줘서 송전선로에 이상이 생..

19년 3회 전력공학 1번

1. 역률 80%, 500kVA의 부하설비에 100kVA의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개선하면 수전점에서의 부하는 약 몇 kVA가 되는가? ① 400 ② 425 ③ 450 ④ 475 (풀이)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피상전력(kVA)에 역률을 곱하면 유효전력(kW)이 되고, 무효율을 곱하면 무효전력(kVar)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구하면 제곱의 합으로 구한다는 부분도 잊지마세요. 정답은 3번이예요. 가장 근접한 답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역률이 0.8이면 무효율은 0.6이라는 것 공식처럼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