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8

19년 1회 전력공학 19번

19. 수차의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① 흡출수두를 증대시킨다. ② 과부화 운전을 가능한 한 피한다. ③ 수차의 비속도를 너무 크게 잡지 않는다. ④ 침식에 강한 금속재료로 러너를 제작한다. (풀이) 캐비테인션에 대한 문제 입니다. 캐비테이션은 공동현상이라고도 하는데요. 여기서 공동은 빈동굴을 의미한다는 글 들이 있더라구요. 캐비테이션이란, 유체의 증기압보다 펌프나 배관압이 낮아져서 생기는 기포 또는 그러한 현상 이라는 정의가 있어요. 설명이 매우 어렵게 되어 있는데요. 쉽게 말해서, 펌프가 운전 중에 액체인 물상태가 아니라, 공기방울이 발생되서 터지면서 배관이나 설비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입니다. 캐비테이션은 별도 첨부자료로 원인, 현상, 대책으로 나누어 정리를 할께요. 전기기사가 아니더라도 ..

19년 1회 전력공학 18번

18. 1선 지락 시에 지락전류가 가장 작은 송전계통은? ① 비접지식 ② 직접접지식 ③ 저항접지식 ④ 소호리액터접지식 (풀이) 지락사고 시, 각 접지 방식에 따른 지락전류의 크기를 묻는 문제네요. 다중접지>직접접지>저항접지>비접지>소호리액터 순으로 지락전류가 크게 됩니다. 즉, 접지선에 저항이 낮아질수록 지락전류가 크게 됩니다. 접지선에 잘 흐르게 되니까요. 이 답을 암기하는 방법은 약간 억지가 있지먀, 앞글자만 따서 다찍(직)고보(비)소 라고 외우세요. '다찍고보소' 만약 문제에서 전위상승이 큰 순서대로 묻는 문제가 있다면 지락전류가 큰 순서의 역순으로 알고 계시면 되요. '소보고찍다' 가 되겠네요. 따라서 정답은 4번 입니다. 각 접지 방식에 대한 참고자료 넣기

19년 1회 전력공학 17번

17. 단도체 방식과 비교할 때 복도체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안정도가 증가된다. ② 인덕턴스가 감소된다. ③ 송전용량이 증가된다. ④ 코로나 임계전압이 감소된다. (풀이) 단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한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복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해요. 다도체는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결국, 한 상당 전선을 두가닥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복도체이면서 다도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상당 전선수가 많아지게 되면 같은 용량의 굵은 전선 한 가닥 보다 시공비나 지지하중을 낮게 할 수 있는 표면적인 이유 외에 안정도가 증가하거나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송전용량이 증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임계전압을 ..

19년 1회 전력공학 16번

16. 보호계전기의 반한시 ㆍ 정한시 특성은? ① 동작전류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 ② 최소 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특성 ③ 동작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에 동작하는 특성 ④ 동작전류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아지며, 어떤 전류이상이 되면 동작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에서 동작하는 특성 (풀이) 보호계전기의 반한시 정한시에 대한 정의를 묻는 문제입니다. 반한시라는 것은 동작전류와 동작시간이 반비례관계 특성을 이야기 하는 거예요. 즉, 전류가 크면 빨리 동작하고, 전류가 작으면 상대적으로 천천히 동작하는 계전기를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정한시라는 것은 동작전류 이상이 되면 정해진 시간 후 제한하는 계전기를 의미합니다. 반대 개념은 순한시가 있죠. 동작전류 ..

19년 1회 전력공학 15번

15. 켈빈(Kelvin)의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는? ① 전압 강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② 부하 배분의 균형을 얻고자 하는 경우 ③ 전력 손실량을 축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④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 (풀이) 전력공학에서 경제적인 설계를 하신 분이 두 분 있는데요. 한 분은 켈빈이라는 분이시고, 다른 한분은 스틸이라 분이세요. 내용은 별도 참고 자료로 넣을께요. 일단, 켈빈의 법칙 경제적인 전선 굵기를 찾는 법칙이예요. 그리고 스틸의 식은 경제적인 송전전압을 찾는 식이죠. 저는 KCSV라고 외웠는데요. KC인증 신발(SV)이라고 해서, 켈빈은 케이블(전선) 스틸은 볼트(전압)이라고 기억해두시면 오래 기억하실 거예요. 켈빈이 나올 수도 있고 스틸이 나올 수도 있으니 잘 기억하세요. ..

19년 1회 전력공학 14번

14. 변전소의 가스차단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근거리 차단에 유리하지 못하다. ② 불연성이므로 화재의 위험성이 적다. ③ 특고압 계통의 차단기로 많이 사용된다. ④ 이상전압의 발생이 적고, 절연회복이 우수하다. (풀이) GIS에 사용되는 가스차단기(GCB)에 대한 설명입니다. SF6가스를 사용하는 GCB는 절연성능이 매우 우수한 차단기 입니다. 그래서 다른 차단기 대비 짧은 거리에서도 소호능력이 뛰어나 근거리 차단에 유리합니다. 그리고 불연성으로 불에 타는 연소가 잘 되지 않아 화재 위험성도 적어요. 보통 154kV이상의 특고압 계통에 많이 사용되고, SF6 높은 절연성능으로 이상전압 발생이 적고, 차단기 소호 후 다시 절연성을 회복하는 능력도 매우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이 되겠습니다...

19년 3회 전력공학 13번

13. 저압뱅킹방식에서 저전압의 고장에 의하여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현상은? ① 아킹(Arcing) ② 플리커(Flicker) ③ 밸런스(Balance) ④ 캐스케이딩(Cascading) (풀이) 정의 문제네요. 단순 암기 문제 입니다. 다시 정리를 할 때, 저압뱅킹방식을 간단히 설명하고 캐스케이딩을 설명드릴께요. 저압뱅킹이란, 두 대이상의 고압 변압기의 저압측을 서로 병렬로 연결해서 접속 운영하는 방식인데요. 부하증가에 대해서 탄력운영이 가능하고 변압기 용량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보호장치가 적절하게 구비되지 않으면 한 배전선로의 사고가 다른 정상적인 변압기나 선로까지 파급되는 현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어요. 방금 언급한 파급현상이 캐스케이딩이라고 합니다. 영어로 캐스케..

19년 1회 전력공학 12번

12. 임피던스 Z1, Z2 및 Z3 을 그림과 같이 접속한 선로의 A쪽에서 전압파 E가 진행해 왔을 때 접속점 B에서 무반사로 되기 위한 조건은? (풀이) 서지파의 서지임피던스의 반사계수와 투과계수 중 무반사 조건에 대한 문제네요. 이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반사계수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요. 아래 참고 그림을 이해하기로 해봐요. 직격뢰가 발생하면 서지파가 그림과 같이 일부는 투과되고 일부는 반사되는 의미인데요. 무반사라는 것은 반사계수가 0, 즉 반사는 없고, 다 투과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반사계수가 0이 되려면 어떻게 되야할까요? 반사계수가 0이 되려면 분자가 0이 되면, 분모에 상관없이 무조건 0이 되겠네요. 그럼, 다시 원래 문제를 보게 되면, 이렇게 해석 하시면 됩니다. 위 풀이와 같이 정답은..

19년 1회 전력공학 11번

11. 이상전압의 파고값을 저감시켜 전력사용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① 초호환 ② 피뢰기 ③ 계전기 ④ 접지봉 (풀이) 이상전압으로 인한 파형의 최고값을 저감 시키는 장비에 대한 문의 입니다. 여기서 이상전압이란, 낙뢰나 외부에서 인입하는 고장전압을 이야기 합니다. 단답형이라 피뢰기에 대해 간단히 짚고 갈께요. 피뢰기는요. 일단 피뢰기와 피뢰침은 다른 설비니까,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피뢰기는 뇌전류를 방전하는 직렬갭 그리고 피뢰기의 전위상승을 억제하는 특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어요. 요즘은 갭이 없는 갭레스형 피뢰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피뢰기는 이상전압이 다 방전하게 되면 원래 정상 송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상전압이나 전위상승이라는 질문이 나오면 피뢰기를 우선적으로 생각하세요. (나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