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8

18년 2회 전력공학 12번

12. 전선의 굵기가 균일하고 부하가 송전단에서 말단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배전선 말단에서 전압강하는? (단, 배전선 전체저항 R, 송전단의 부하전류는 I이다.) (풀이) 배전선 말단에 대한 균일분포부하의 전압강하를 묻는 문제 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전압강하라 하면 전류와 저항을 곱한 값이 되는데요. 이것이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는 부하이면 전압강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말단 집중부하는 아래 그림처럼 계수가 붙지 않은 기본형태인데요. 말단 균일 부하는 전압강하가 1/2, 전력손실이 1/3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정답은 1번이고, 단답형이니 가볍게 답만 외우셨으면 합니다.

18년 2회 전력공학 11번

11. 부하전류의 차단능력이 없는 것은? ① DS ② NFB ③ OCB ④ VCB (풀이) 단단형 문제네요. 센스가 있으면 3초내 풀수 있어요. 보기 중에서 뒤에 B가 아닌 보기가 답이 됩니다. 결국 답은 ① DS가 됩니다. 단로기라고 부르는 장치예요. 요행으로 풀었냐고요? 아닙니다. DS Disconect Switch NFB No Fuse Breaker OCB Oil Circuit Breaker VCB Vaccum Circuit Breaker 여기에서 Breaker는 차단기를 의미하는 건데요. 차단기는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요. Switch는 말그대로 스위치 입니다.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왜 DS라는 장비가 필요하냐? 그것은 이중안전을 위한 장치라고 생..

18년 2회 전력공학 10번

10. 차단기의 정격 차단시간은? ① 고장 발생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② 트립코일 여자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③ 가동 접촉자의 개극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④ 가동 접촉자의 동작시간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풀이)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에 대한 문제입니다. 일단 소호라는 의미를 알아보죠. '소호는 불꽃을 끈다.'라는 의미입니다. 차단기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면 전원의 순간적인 접촉으로 큰 에너지가 생기게 되고 그것은 보통 아크라고 하는 불꽃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 아크를 얼마나 잘 소호하는 것이 차단기의 능력인 거죠. 그런데 이 차단기라는 것은 평상 시 통전 중 트립코일이라는 장치가 있는데 이것이 차단기에 붙게되면 차단기가 열리게 됩니다. 이 트립코일은 OCR이나 OCGR등 여러 계전기에 의해 동작합니다. 개극이라는 ..

18년 2회 전력공학 9번

9. 발전용량 9800 kW의 수력발전소 최대사용 수량이 10 m3/s일 때, 유효낙차는 몇 m 인가? ① 100 ② 125 ③ 150 ④ 175 (풀이) 발전용량이나 펌프의 용량을 구하는 문제로 실기에서도 필기에서도 자주 나오는 문제이며, 소방설비기사나 공조냉동기계기사에도 나오는 문제입니다. 공식을 알고 있으면 되고요. 가급적 정석 공식을 외우시고 조건에 없으면 과감하게 없는 부분을 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① 100 가 정답 입니다.

18년 2회 전력공학 8번

8. 정전용량 0.01 μF/km, 길이 173.2 km, 선간전압 60 kV, 주파수 60 Hz인 3상 송전선로의 충전전류는 약 몇 A 인가? ① 6.3 ② 12.5 ③ 22.6 ④ 37.2 (풀이) 충전전류 IC를 구하는 문제네요. 일단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충전전류라는 공식이 '오메가 씨 이' 라는 공식으로 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해요. 잘 안외워지시면 '오메가3 먹어서 배탈이 났다. 그래서 '오메가 씨이'라고 욕했다.' 이렇게 라도 외우세요. 어디가서 제가 알려줬다고 하지는 마시고... 저희는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거니까 쉽게 암기법을 연상하는 것도 공부 입니다. 앞의 알파벳 w처럼 생긴 것은 더블유가 아닙니다. 오메가라는 그리스 문자고요. 이 오메가는 전기에서 각속도라는 의미로 '2파이..

18년 2회 전력공학 7번

7.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① 소내용 동력 ② 송풍기 손실 ③ 복수기에서의 손실 ④ 연도 배출가스 손실 (풀이) 단답형 문제네요.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복수기(condenser) 라고 합니다. 이 장치는 터빈 배기 증기를 응축하여 열낙차를 크게하여 터빈효율을 향상 시키는 장치라고 합니다. 응축된 복수(물)은 재생하고 재열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해요. 복수기 냉각수에 의한 손실은 화력발전 손실의 약 50~60%에 달한다고 합니다. 깊게 공부하시지 마시고, 단답형 문제로 복수기를 선택하는 것 잊지마세요.

18년 2회 전력공학 6번

6. 동기조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② 전압 조정이 연속적이다. ③ 중부하시에는 과여자로 운전하여 앞선 전류를 취한다. ④ 경부하시에는 부족여자로 운전하여 뒤진 전류를 취한다. (풀이) 동기조상기에 대한 문제네요. 동기조상기를 알기 전 우리는 조상설비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조상설비는 진상콘덴서, 분로리액터, 동기조상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삼상 교류를 사용하다보니 부하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차이가 무효전력으로 나타납니다. 이 무효전력은 쓸 수 없는 전기로 전력 효율의 매우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 무효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특수설비를 설치해서 상의 위치를 조절하는데요. 이것을 조상설비라고 해요. 조상설비는 모두 부하나 선로에 병렬로 연결합니다. 특히, 동기조상기가 콘..

18년 2회 전력공학 5번

5. 소호리액터를 송전계통에 사용하면 리액터의 인덕턴스와 선로의 정전용량이 어떤 상태로 되어 지락전류를 소멸시키는가? ① 병렬공진 ② 직렬공진 ③ 고임피던스 ④ 저임피던스 (풀이) 지락전류가 발생하면 이 전류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변압기 중섬점에 리액터를 이용하여 접지를 하는데 이것을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방식의 특징은 리액터가 발생할 수 있는 선로의 정전용량과 상쇄되어 전류의 크기를 최소로 만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왜 직렬공진이 아니라 병렬공진이게 되면 직렬 공진을 하게 되면 전류의 크기가 최대가 되거든요. 이 부분은 회로이론을 공부하면 나오게 됩니다. 학술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이 문제를 이해할 때 병렬이게 되면 전류가 ..

18년 2회 전력공학 3번

3. 동작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 ① 순한시 계전기 ② 정한시 계전기 ③ 반한시 계전기 ④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풀이) 과전류 계전기의 특성 중 보호 계전기 동작시한 특성에 대한 문제입니다. 순한시에서 순은 깜짝일 순입니다. 엄청빠르게 작동하는 계전기라는 의미로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바로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고속도 계전기라고 합니다. 정한시는 정해놓은 시간에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즉, 전류가 일정한 값만 넘으면 정해놓은 시간 후에 동작한다는 의미입니다. 반한시는 반대의 의미입니다. 즉 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이 짧고 전류가 작으면 동작시간이 긴 계전기 입니다. 그래프를 묻는 문제라면 반비례 그래프를 찾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반한시 정한시는 동..

18년 2회 전력공학 4번

4. 22.9 kV, Y결선된 자가용 수전설비의 계기용변압기의 2차측 정격전압은 몇 V 인가? ① 110 ② 220 ③ 110√3 ④ 220√3 (풀이) 계기용변압기 2차측 110V 계기용변류기 2차측 5A라고 암기하는 문제세요. 다른 규격도 있지만 PT 110, CT 5라고 꼭 기억하세요. 정답은 ①입니다. 전기에서 계기용변성기라고 하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어요. 계기용변압기와 계기용변류기 입니다. 이름 그대로 계기용변압기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해서 전압계 등의 계측기나 계전기 전압을 측정할 때 씁니다. 보통 전주(전봇대) 1차 전압이 22.9kV인데요. 만약 이 전주를 1차 전압을 그대로 쓴다면 그대로 고전압이 유기되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계기용변압기를 이용해 전압의 상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