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8

18년 3회 전력공학 2번

2. 1년 365일 중 185일은 이 양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유량은? ① 평수량 ② 풍수량 ③ 고수량 ④ 저수량 ◆ 풀이 이 문제는 사실 전기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력발전의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용어라고 합니다.] 0~100의 평균은 절반인 50이니까, 365일의 절반은 185일 그러니까, 평수량 이렇게 외우세요. 이 문제에 너무 스트레스 받으면서 공부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정답은 ① 평수량 입니다. 아래 표는 간단하게 살펴보세요. 구분 의미 영문 해석 평수량 평수위 OWL (Ordinary Water Level) 일상적인 수위로 일년 중 절반 정도, 약 18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양 풍수량 풍수위 AWL (Abundant Water Level) 풍부한..

18년 3회 전력공학 1번

1. 변류기 수리 시 2차측을 단락 시키는 이유는? ① 1차측 과전류 방지 ② 2차측 과전류 방지 ③ 1차측 과전압 방지 ④ 2차측 과전압 방지 ◆ 풀이 변류기(CT)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만들어주는 변성기 입니다. 1차측과 2차측의 자속관계를 이용해 전류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이야기가 적용된 변성기이죠.] 1차측과 2차측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되고 철심에서 발생하는 포화된 자속의 여자전류 값을 읽어서 전류 값을 측정하는데 만약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변류기 2차측을 개방하게 되면, 2차측의 자속의 사라지게 되고, 2차측 단자에 1차측 자속과 포화된 여자전류의 자속이 합쳐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2차측에는 큰 유기 기전력을 인가하게 되죠. 이 과전압은 변류기의 ..

18년 2회 전력공학 20번

20. 저압배전계통을 구성하는 방식 중 캐스케이딩(Cascading)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방식은? ① 방사상방식 ② 저압뱅킹방식 ③ 저압네크워크방식 ④ 스포트네트워크 방식 (풀이) 일단 각 방식들을 다 설명하게 되면 더 헷갈릴 수 있으니 이번 단답형은 외우기로 하죠. 저압뱅킹이 나오면 캐스케이딩, 캐스케이딩이 나오면 저압뱅킹방식이라고요. 왜냐하면 다른 방식에서는 캐스케이딩 현상이 발생 하지않거든요. 저압뱅킹방식 이란, 두 대 이상의 변압기의 2차측을 서로 접속을 해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예요. 즉, 변압기는 여러대가 있지만 부하는 한 라인으로 사용하는 것이예요. 장점은 전압변동으로 인한 플리커가 적고, 전압강하와 전력손실이 적어요. 공급의 신뢰도도 좋고,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성도 좋아요. 그러나 캐..

18년 2회 전력공학 19번

19. 직류 송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선로의 절연이 교류방식보다 용이하다. ② 리액턴스 또는 위상각에 대해서 고려 할 필요가 없다. ③ 케이블 송전일 경우 유전손이 없기 때문에 교류방식보다 유리하다. ④ 비동기 연계가 불가능하므로 주파수가 다른 계통간의 연계가 불가능하다. (풀이) 직류송전방식은 송전효율이 좋고, 절연내력도 교류에 비해서 좋습니다. 주파수가 없기 때문에 비동기 연계가 가능하고요. 그리고 교류에서 문제인 코로나손이나 전력손실도 적어요. 표피효과도 발생하지 않죠. 대부분 직류 송전은 교류보다 좋다고 생각하시면 좋은데요. 단점은 직류변환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고요. 승압이나 강압 등 전압을 변성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리고 고조파에 대한 대비도 해야 됩니다. 직류송전은 주파수가 없기..

18년 2회 전력공학 18번

18. 선로정수를 평형되게 하고, 근접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① 연가를 시행한다. ② 전선으로 복도체를 사용한다. ③ 전선로의 이도를 충분하게 한다. ④ 소호리액터 접지를 하여 중성점 전위를 줄여준다. (풀이) 연가라는 것은 전선을 꼬아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무렇게나 꼬는 것은 아니고, 3의 배수 구간에 맞추어 설치를 하는데요. 각 상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선로정수를 동일하게 하는데에 있습니다. 선로정수가 평형하게 되면 인접 통신선에 영향도 덜 주게 되죠. 복도체 사용은 코로나 방지가 목적이구요. 이도는 전선의 단선 방지가 목적입니다. 소호리액터 접지는 선로의 안정도 향상이 목적이예요. 따라서 정답은 ① 연가를 시행한다. 입니다. 출처 공필모 티스토리 블로그

18년 2회 전력공학 17번

17. 직격뢰에 대한 방호설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복도체 ② 가공지선 ③ 서지흡수기 ④ 정전방전기 (풀이) 직격뢰라는 것은 번개를 말합니다. 건물에 피뢰침이 있 듯, 전선주나 철탑에도 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있어요. 가공지선이라는 일종의 접지선인데요. 직격뢰에 대해서 선로를 보호하고 뇌가 가지는 전기적 성질에 대해 차폐효과도 있습니다. 그리고 접지적 특성인 통신선 유도장해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목적은 직격뢰에 대한 송전선로의 보호가 목적이예요. 복도체는 송전선로에서 선이 두 가닥일때 쓰는 용어이구요. 서지흡수기는 차단기나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안정시켜주는 장비입니다. 정전방전기는 차단기 오프 후 잔류전하가 있으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방전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

18년 2회 전력공학 16번

16. 400 kVA 단상변압기 3대를 Δ-Δ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V결선을 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 ① 400 ② 566 ③ 693 ④ 800 (풀이) 변압기 고장으로 인한 긴급 V결선 시, 최대 이용할 수 있는 부하용량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Δ결선에서 V결선으로 바꾸면 변압기 한대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 때 변압기의 부하 허용량은 한대분에 루트3배를 한 것이 된다는 점이예요. 실기에서도 단답형으로 잘 나오는 문제이니 꼭 기억하세요.

18년 2회 전력공학 15번

15. 송전선로에 댐퍼(Damper)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① 전선의 진동방지 ② 전선의 이탈방지 ③ 코로나현상의 방지 ④ 현수애자의 경사방지 (풀이) 출처 국제전기 송전선로를 보시면 전선이 여러가닥으로 되어 있어요. 철탑사진은 4가닥으로 보이는 데요. 우리는 이 선이 1가닥일 때는 단도체, 2가닥일 때는 복도체, 그리고 2가닥을 초과하면 다도체라는 용어를 쓰게 됩니다. 상식적으로 154kV는 2가닥, 345kV는 4가닥, 765kV는 6가닥이 됩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전선은 이도란 것을 주게 되어 있어요. 여기에서 이도란, 겨울철에는 전선이 수축하고, 여름철에는 전선이 팽창해서 전선을 설계상 알맞게 수평축보다 늘어뜨리는 길이를 말하는데요. 이도가 있다보니, 진동에 민감하고 진동도 발생시킬 위험시 ..

18년 2회 전력공학 14번

14. 송전선로에서 고조파 제거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변압기를 Δ결선 한다. ② 능동형 필터를 설치한다. ③ 유도전압 조정장치를 설치한다. ④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지한다. (풀이) 고조파 제거방법에 대한 설명이네요. 고조파는 교류파형에서 주기적으로 파형의 왜곡이 일어나 깨끗하지 못한 전기를 공급하게 하는 현상인데요. 보통 인위적으로 전압을 변성해주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고주파와 헷갈리시면 안되요. 3고조파, 5고조파 등 앞에 그 발생 위치에 따라 명칭이 붙어요. 숫자가 낮을수록 피해나 규모가 큰 녀석입니다. 변압기 Δ결선을 하게 되면 3고조파가 회로를 순환하게 되면서 제거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고조파는 필터를 설치해서 제거를 합니다. 무효전력보상장치는 SVC라고 ..

18년 2회 전력공학 13번

13.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고자 한다. Δ결선방식과 Y결선방식을 비교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μF)의 크기는 어떠한가? ① Δ결선방식과 Y결선방식은 동일하다. ② Y결선방식이 Δ결선방식의 1/2이다. ③ Δ결선방식이 Y결선방식의 1/3이다. ④ Y결선방식이 Δ결선방식의 1 (풀이) 이전 8번 문제에서 충전전류 구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충전전류에다 3곱하기 상전압을 곱하면 콘덴서 용량이 구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아래 사진의 충전전류는 헷갈려하지 말라고 적어 놨어요. 붉은 색 마크 표시 한 부분을 이용해 문제에 접근을 하겠습니다. 콘덴서 용량 구하는 공식에 전압이 들어가는데요. 책에 따라서 E나 V를 헷갈려 하실 수 있어요. E는 전력공학에서는 상전압을 의미하고 V라 하면 선간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