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학기초-1강]숫자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첫 시간으로 숫자의 이해를 이야기해볼까요?
중점적으로 다룰 부분은 수의 체계와 그 특성에 대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숫자가 뭐야?"라는 질문에 여러분은 어디까지 대답하실 수 있나요?
이 질문에 일반적으로 "1,2,3,4... 10 이요."라는 대답을 받았어요.
맞는 대답이에요. 숫자를 자연수로 단정 지으면요.ㅎㅎ
숫자는 수를 나타내는 글자를 의미하죠.
세종대왕이 한글을 발명한 것처럼 인류는 숫자라는 것을 발명하게 돼요.
수를 기록하는 방법을 만들게 된 거지요.
시간이 흐르고 점차 숫자를 유용하게 사용한 인간은 지식과 학문 그리고 경험을 통해 수의 범위를 점차 확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에 대한 체계가 잡히게 되죠.
보통 전기기사 자격증이 어렵다는 이유로 뒤에 배울 미적분 및 삼각함수 이야기를 많이 하지만,
저는 이 숫자의 이해가 수의 최고 단위인 복소수 개념까지 올라가기에 전기자격증 취득을 어렵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복소수를 쓸 일이 많지는 않으니까요.ㅎㅎ
전공자도 자격증 서적을 보다 '이게 뭔데?' 라는 생각이 들고 비전공자의 마음은 더욱 암울하죠.
수의 체계를 적어봤는데요. 숫자를 이해하면 우리는 수를 이해할 수 있어요.
마치 어릴 때 알파벳을 외우게 시키듯이 공부를 할수록 자연스러워지죠.
그래서 부담가지실 필요는 없어요.
첨부한 그림을 확인하시고, 숫자는 이런 게 있고, '아...수의 체계가 이런 거구나...'라고 이정도만 이해하세요.
수고하셨습니다.
* 허수에서 i or j를 넣은 이유는 우리가 정규교육 과정에서 배운 허수는 i라고 배웠을 거예요.
하지만, 전기자격증에서는 전류의 i와 헷갈리기 때문에 보통 j로 포기합니다.
'전기기초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수학기초-6강]분수의 곱셈, 번분수, 부분분수 (2) | 2020.10.04 |
---|---|
[전기수학기초-5강]분수의 덧셈과 뺄셈 그리고 기약분수 (5) | 2020.10.03 |
[전기수학기초-4강]문자가 있는 나눗셈 (1) | 2020.10.02 |
[전기수학기초-3강]문자가 있는 곱셈 (7) | 2020.09.29 |
[전기수학기초-2강]사칙연산 (9)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