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21년 2회 전력공학 19번

19. 선로, 기기 등의 절연 수준 저감 및 전력용 변압기의 단절연을 모두 행할 수 있는 중성점 접지방식은? ① 직접접지방식② 소호리액터접지방식 ③ 고저항접지방식④ 비접지방식 (풀이) 이 문제는 접지 방식을 찾아야 하는 문제인데요. 일단, 계통접지를 하는 내용에 있어 지락전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직고보소 다중접지 직접접지 고저항접지 비접지 소호리액터 접지 순이고요. 지락 시 전위상승이 큰 순서는 역순이죠. 소보고직다 소호리액터 접지 비접지 고저항접지 직접접지 다중접지 순이예요. 그런데 보기에서 다중접지는 없으니까, 일단 빼고 생각해보죠. 절연수준 저감이라는 단어를 보고 '아~전위상승이 적으면 고전압이 유기 되지 않으니까, 직접접지가 있으면 선택하자.' 라고 나오셔야 되요. 낮은 전위상승으로 절연을 ..

21년 2회 전력공학 18번

18. 전력계통의 전압을 조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① 발전기의 유효전력 조정② 부하의 유효전력 조정 ③ 계통의 주파수 조정④ 계통의 무효전력 (풀이) 전력계통의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은 직접제어와 간접제어 방식이 있는데요. 유효전렵 부하나 무효전력 부하가 늘어나게 되면, 전압이 저하되게 됩니다. 보내는 전압보다 받는 쪽 전압이 높아지는 페란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내는 쪽 전압이 받는 쪽보다 높게 되죠. 그런데 직접적으로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압조정용 TAP을 사용해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여기에서는 보기에 없네요. 그럼 간접제어 방식을 찾아야 겠어요. 사실 전압의 변동폭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효전력보다 무효전력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전력용 콘덴서나 동기조상기 등을..

21년 2회 전력공학 17번

17.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각 선의 대지정전용량이 0.5096㎌이고, 선간정전용량이 0.1295㎌일 때, 1선의 작용정전용량은 약 몇 ㎌인가? ① 0.6② 0.9③ 1.2④ 1.8 (풀이) 작용정전용량을 구하는 방법을 묻는 문제인데요. 사실 이 문제는 2가지의 경우로 나오는 계산 문제이기 때문에 공식을 외우는 것을 풀이로 적겠습니다. 공식 암기가 어렵지 않으니, 다르게 문제가 나와도 다 맞으셨으면 합니다. 작용정전용량은 선간 정전용량, 선과 대지 간의 정전용량을 통틀어 합친 정전용량을 의미합니다. 용어가 문제마다 다르게 표기되는 경우가 있어 잘 생각하고 풀면 좋은데요. Cw는 W가 Work 작용 즉, 일(작용)하는 정전용량, 그리고 Cs는 S가 Self 스스로, 즉 다른 선 간섭없어 자기정전용량, ..

21년 2회 전력공학 16번

16. 송전단 전압을 Vs, 수전단 전압을 Vr, 선로의 리액턴스를 X라 할 때, 정상 시의 최대 송전전력의 개략적인 값은? (풀이) 최대 송전전력은 원래 송전단과 수전단 간의 위상차각도 있어야지만, sin함수의 최대값이 1이기 때문에 정답은 4번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전압과 전류를 곱하면 됩니다. 그런데, 전류는 다시 임피던스 분의 전압으로 표현 됩니다. 임피던스를 보면 저항대비 리액턴스가 너무 크기 때문에 저항을 제외하고 리액턴스만 구하면, 최대전력을 구하는 공식을 쉽게 유추할 수 있어요.

21년 2회 전력공학 15번

15. 비등수형 원자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증기 발생기가 필요하다. ② 저농축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③ 노심에서 비등을 일으킨 증기가 직접 터빈에 공급되는 방식이다. ④ 가압수형 원자로에 비해 출력밀도가 낮다. (풀이) 원자력발전 중 비등수형 원자로에 대해 문제네요. 비등수형 원자로 방식은 BWR이라는 약어로 표현이 되고, 풀면 Boilind Water Reactor 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직접 가열 방식인데요. 간적방식인 가압수형 원자로, PWR과 대비 되는 방식이예요. 우리나라는 누출에 대한 안정성의 사유로 PWR을 채용하는데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경우는 BWR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등수형 BWR은 직접가열 방식으로 증기발생기가 필요 없고, 증기가 직접 터빈에 들어가서..

21년 2회 전력공학 14번

14.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강압 변압기② 체승 변압기 ③ 단권 변압기④ 3권선 변압기 (풀이) 배전용 변압기라는 것은 배전선로에서 고압이나 특고압을 받아서 수용가가 필요한 전압을 공급해주는 변압기 입니다. 배전용 변압기는 강압변압기인데요. 체강 변압기라도 합니다. 여기서 강압이란 전압을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정답은 1번이고요. 체승 변압기, 단권 변압기, 3권선 변압기는 송전용 변압기 입니다. 특히, 체승 변압기라는 용어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것은 승압용 변압기를 의미합니다.

21년 2회 전력공학 13번

13. 최대수용전력이 3kW인 수용가가 3세대, 5kW인 수용가가 6세대라고 할 때, 이 수용가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주상변압기의 최소 용량(kVA)은? (단, 역률은 1, 수용가간의 부등률은 1.3이다.) ① 25② 30 ③ 35 ④ 40 (풀이) 계산문제지만, 자세히 읽어보면 어렵지 않은 문제인데요. 보통 문제에 수용률이 나오면 그대로 곱하고 부등률 수치가 나오면 나누라고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요. 일단, 그 부분을 생각하고요. kW를 역률로 나누면 kVA가 된다는 점을 가지고 시작하도록 하죠. 아래 풀이에 의해 정답 3번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1년 2회 전력공학 12번

12. 직격뢰에 대한 방호설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복도체② 가공지선 ③ 서지흡수기④ 정전방지기 (풀이) 뢰로 이상전압을 유기하면 보통 외뢰와 내뢰로 나누는데요. 외뢰는 보통 낙뢰에 의해서 생기는 직격뢰를 의미합니다. 직격로 인한 유도뢰도 있지만, 이러한 외뢰를 막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 피뢰기, 피뢰침 등 있어요. 그리고 내뢰라는 것은 개폐서지로 인한 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 인데 이것을 막기 위해 서지흡수기를 설치하죠. 그런데, 이것은 결국 전기를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의 대비책이고, 전주나 철주 같이 가공전선로에 낙뢰가 맞는다면 전기공급자체가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공급전선 상단에 공급전선과 같은 종류의 전선을 설치하는데요. 그것을 가공지선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상단에 있으니까, 직격뢰를 맞을 ..

21년 2회 전력공학 11번

11. 500kVA의 단상 변압기 상용 3대(결선 △-△), 예비 1대를 갖는 변전소가 있다. 부하의 증가로 인하여 예비 변압기까지 동원해서 사용한다면 응할 수 있는 최대부하(kVA)는 약 얼마인가? ① 2000② 1730③ 1500④ 830 (풀이) 델타-델타 결선을 V-V결선으로 바꿔서 변압기 사용용량을 조금더 증대시킬 수 있는 지 묻는 문제예요. 변압기 V결선은 변압기 델타-델타 결선에서 단상변압기 1대가 고장났을 때, 긴급으로 단상변압기 2대만으로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결선 방법인데요. 변압기 이용률이 86.6%, 출력비가 57.7%이고 불평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예비용 변압기를 활용해 V-V결선 3상 부하 변압기 2대를 만들겠다는 문제 입니다. 지금 기존에 3상 15..

21년 2회 전력공학 10번

10. 망상(network)배전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전압변동이 적다. ② 인축의 접지사고가 적어진다. ③ 부하의 증가에 대한 융통성이 크다. ④ 무정전 공급이 가능하다. (풀이) 망상 배전방식은 동일모선에서 2회선 이상의 급전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인데요. 이 방식은 부하단이 거미줄처럼 다 얽혀 있어서 문제가 한 곳에 생겨도 무정전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전방식의 끝판왕이예요. 전압변동, 전력손실, 플리커 등 도 감소가 되고, 부하증가에도 융통성이 매우 좋아요. 단, 비용이 비싸고, 네트워크 프로텍터라는 보호장치가 필요 합니다. 그리고 시스템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람이나 가축의 접촉사고도 타시스템에 비해 많게 되죠. 단순한 시스템은 정전 후 작업을 하면 되지만, 시스템이 무정전 공급이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