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21년 1회 전력공학 19번

19. 정전용량이 C1이고, V1의 전압에서 Qr의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콘덴서가 있다.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2배로 승압된 전압(2V1)에서도 동일한 무효전력 Qr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필요한 콘덴서의 정전용량 C2는? ① C2 = 4C1② C2 = 2C1 ③ C2 = 1/2 C1 ④ C2 = 1/4 C1 (풀이) 콘덴서 용량을 구하는 문제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피상전력과의 관계 외에 정전용량을 구하는 방법에서도 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콘덴서 용량이 전력공식 P[VA]=VI[VA] 그리고 Q[Var]=VI[VA]에서 유도 되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 문제는 그런부분을 이해하고 있냐를 묻는 문제 입니다. '전압은 2배 올렸는데 콘덴서 용량을 같게 했을 때, 정전용량의 관계는 어떻게 되냐?'를 묻는 ..

21년 1회 전력공학 18번

18. 송전선로에서의 고장 또는 발전기 탈락과 같은 큰 외란에 대하여 계통에 연결된 각 동기기가 동기를 유지하면서 계속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지를 판별하는 안정도는? ① 동태안정도(Dynamic Stability) ② 정태안정도(Steady-state Stability) ③ 전압안정도(Voltage Stability) ④ 과도안정도(Transient Stability) (풀이) 안정도라는 것은 얼마나 안정적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나를 나타내는 데요. 전력 계통의 안정도의 종류는 세 가지 입니다. 정태안정도, 동태안정도, 과도 안정도 인데요. 순서대로 정리를 해볼께요. 정태안정도는 정상상태의 안정도 예요. 전력계통이 아주 정상적인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예요. 동태안정도는 정태안정..

21년 1회 전력공학 17번

17. 전력원선도의 가로축과 세로축을 나타내는 것은? ① 전압과 전류② 전압과 전력 ③ 전류와 전력④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풀이) 전력원선도에 대한 문제네요. 전력 원선도는 가로 유효전력에 세로 무효전력을 축으로 하여 나타낸 그림인데요. 정답은 4번을 선택하시면 되겠어요. 전력원선도는 송전단 전력과 수전단 전력을 원의 형태로 그려서 나타낸 그림이예요. 4단자 정수와 송수전단의 전압과 전류를 알아야 그릴 수가 있어요. 이것들을 알아야 원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거든요. 전력원선도를 그리게 되면 송수전 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및 송수전 간의 전압 상차각과 전력손실, 송전효율, 수전단 역률 그리고 조상설비 용량을 구할 수가 있어요. 전력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사항이 필기에서 자주 출제되는 데요. 코로나 손실과 ..

21년 1회 전력공학 16번

16. 기준 선간전압 23[kV], 기준 3상 용량 5,000[kVA], 1선의 유도 리액턴스가 15[Ω]일 때 % 리액턴스는? ① 28.36[%] ② 14.18[%] ③ 7.09[%]④ 3.55[%] (풀이) %리액턴스를 구하는 문제 입니다. 일단, %Z 공식을 알아야 되는 문제 입니다. 임피던스 Z를 리액턴스 X로 바꾸면 쉽게 나올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으니, 꼭 풀어보세요. 정답은 2번 입니다.

21년 1회 전력공학 15번

15. 송전선로에서 1선 지락 시에 건전상의 전압 상승이 가장 적은 접지방식은? ① 비접지방식② 직접접지방식 ③ 저항접지방식④ 소호리액터접지방식 (풀이) 이 문제는 송전선로에서 지락발생 시, 지락전류의 크기 순서와 전압 상승 두가지를 묻는 문제로 자주 출제가 되는데요. 지락전류의 크기 순은 '다-찍-고-보-소'라고 외우면 되고요. 왼쪽일수록 크다만 기억하세요. (다중접지 직접접지 고저항접지 비접지 소호리액터접지) 전위상승은 역순입니다. '소-보-고-직-다'로 외우시면 됩니다. (소호리액터접지 비접지 고저항접지 직접접지 다중접지) 그러면 다중접지가 가장 전위상승이 낮은데 보기에 없으니까 두번째 직접접지 2번을 답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21년 1회 전력공학 14번

14. 전력 퓨즈(Power Fuse)는 고압, 특고압기기의 주로 어떤 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설치하는가? ① 충전전류 ② 부하전류 ③ 단락전류④ 영상전류 (풀이) 단답형 문제 입니다. 전력퓨즈는 문제에서 처럼 고압, 특고압기기의 단락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보호장치 인데요. 전력퓨즈하면 단락전류 보호라고 꼭 기억하세요. 단락전류란, 전로의 선간이 임피던스가 적은 상태로 접촉되었을 경우에 그 부분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라고 정의하는데요. 쉽게 이야기하면, 전류가 흐르는 선끼리 만나서 순간적으로 대전류가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3번 입니다.

21년 1회 전력공학 13번

1.3. 케이블 단선사고에 의한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정전용량 측정법으로 구하는 경우, 건전상의 정전용량이 C, 고장점까지의 정전용량이 Cx, 케이블의 길이가 l일 때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식으로 알맞은 것은? (풀이) 지중케이블을 고장점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머레이루프법, 펄스레이더법, 정전용량 측정법이 있는데요. 정전용량 측정법에 물었으니까, 이거에 대해서만 이야기 해볼께요. 정전용량법은 비례식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건전상 일 때, 즉 건강한 전기상태일 때의 정전용량과 고장났을 때의 정전용량을 나타내면 되는데요. 아래 그림으로 표현 해드릴께요. 정답은 3번입니다.

21년 1회 전력공학 12번

12. 통신선과 평행인 주파수 60[Hz]의 3상 1회선 송전선이 있다. 1선 지락 때문에 영상전류가 100[A] 흐르고 있다면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자유도전압[V]은 약 얼마인가? (단, 영상전류는 전 전선에 걸쳐서 같으며, 송전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는 0.06[mH/km], 그 평행 길이는 40[km]이다.) ① 156.6② 162.8 ③ 230.2④ 271.4 (풀이) 어렵게 보이는 식이지만, 사실 크게 보면 아주 어려운 문제는 아니예요. V=IR 옴의 법칙 공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옴의 법칙에 저항을 넣고 계산하는데요. 교류전원에 인덕터 성분이나 콘덴서 성분이 들어가면 저항과 비슷하게 전류를 막는 성분이 되는데요. 이것을 전문용어로 리액턴스라고 합니다. 그리고 교류 전원에서 저항..

21년 1회 전력공학 11번

11. 용량 20[kVA]인 단상 주상 변압기에 걸리는 하루 동안의 부하가 처음 14시간 동안은 20[kW], 다음 10시간 동안은 10[kW]일 때, 이 변압기에 의한 하루 동안의 손실량[Wh]은? (단, 부하의 역률은 1로 가정하고, 변압기의 전 부하동손은 300[W], 철손은 100[W]이다.) ① 6,850② 7,200 ③ 7,350 ④ 7,800 (풀이) 변압기에서 손실은 동손과 철손이 있는데요. 둘다 손실과 관련된 사항인데요. 부하와 관련된 동손과 부하와 무관한 철손이 있어요. 이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동손과 철손을 나누고 각각 구한 후 더해주시면 됩니다. 부하율은 24시간을 기준으로 최대전력은 20kW가 되고 처음 14시간 동안 평균전력은 20kW(100%부하), 나머지 10시간 동안 평균전력..

21년 1회 전력공학 10번

10. 역률 0.8, 출력 320[kW]인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에 역률 개선을 위해 전력용 콘덴서 140[kVA]를 설치했을 때 합성역률은? ① 0.93② 0.95 ③ 0.97④ 0.99 (풀이)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설치했을 때, 현재 0.8인 역률이 얼마나 변화가 될 수 있을까를 알아보는 문제인데요. 전기에서 몇개 안되는 단위변화가 주가 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피상전력이라는 의미를 알아야 되는데요. 실제로 쓰는 전력이 아니라 공급전력이라는 개념이예요. 단위가 kVA를 쓰고, 보통은 키로 볼트-암페어라고 많이 부릅니다. 이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하게 되면, 유효전력이 되게 됩니다. 그리고 반대로 무효율을 곱하면 무효전력이 되는거죠. 중요한 것은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이 피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