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9번

19. 변전소에서 비접지 선로의 접지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 에 영상전류를 공급하는 것은? ① CT ② GPT ③ ZCT ④ PT (풀이) 비접지 선로의 접지 보호용이라는 물음에서 바로 답을 찾아야 됩니다. 정답은 2번 인데요. 이 문제가 비접지 선로의 지락사고 보호용이라고 나왔다면 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GPT는 비접지 선로, 주로 델타-델타 결선에서 사용되는 영상전압 검출하는 설비 입니다. 이와 대비하여 접지선로에 사용되는 영상전류 검출 지락보호 방식이 ZCT를 사용하는 검출 방식이구요. CT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PT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설비 예요. 비접지 지락은 GPT, 접지 지락은 ZCT로 생각하세요.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8번

18. 화력발전소에서 절탄기의 용도는? ① 보일러에 공급되는 급수를 예열한다. ② 포화증기를 과열한다. ③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④ 석탄을 건조한다. (풀이) 화력발전소는 보일러를 가열시켜 그 증기를 이용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데요. 절탄기는 영어로 에코노마이저라고 하고, 보일러 배기로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해 보일러급수를 가열하는 설비 입니다. 단어 자체가 익숙하지는 않지만, 절탄기의 탄이 숯이라는 의미거든요. 숯을 피우면 그 열로 고기를 굽잖아요. 절탄기는 재료를 가열하는 장비라고 생각하고, 보일러의 재료는 물이니까 보일러 급수를 가열한다고 생각하세요. 약간 억지스럽지만, 한번 이렇게 기억해두시면 도움이 되실꺼예요. 그래서 정답은 1번 입니다.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7번

17. 3상 배전선로의 말단에 역률 60%(늦음), 60kW의 평형 3상 부하가 있다. 부하점에 부하와 병렬로 전력용콘덴서를 접속하여 선로손실을 최소로 하고자 할 때 콘덴서 용량(kVA)은? (단, 부하단의 전압은 일정하다.) ① 40 ② 60 ③ 80 ④100 (풀이) 전력용콘덴서의 용량을 구하는 문제 입니다. 실기에서도 자주 나오는 문제이고, 계산 자체가 어렵지 않으니 꼭 익혀두세요. 교류 전력을 쓸 때, 유효분과 무효분이 있는 데, 무효분은 우리가 쓸 수 없는 전력입니다. 이것을 줄인다는 것을 역률을 개선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어요. 보통 수용가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 전력용 콘덴서 혹은 역률개선용 콘덴서 입니다. 역률이 개선되면, 전력손실 경감, 전압강하감소, 전기요금 감소, 설비용량 ..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6번

16. 4단자 정수 A=0.9918+j0.0042, B=34.17+j50.38, C=(-0.006+j3247)×10-4인 송전선로의 송전단에 66kV를 인가하고 수전단을 개방하였을 때 수전단 선간 전압은 약 몇 kV인가? ① 66.55/√3 ② 62.5 ③ 62.5/√3 ④ 66.55 (풀이) 4단자 정수 계산 문제네요. 어려울 수도 있지만, 충분히 따라올 수 있는 문제니까, 천천히 풀어보세요. 일단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행렬의 곱을 할 줄 알아야 해요. 행렬로 식을 간소화 하고, 문제에서 주어진 대표적인 조건이 일단 A값을 줬고, 송전단 전압이 66kV라는 것도 줬네요. 그리고 수전단 개방이라는 수전단 전류가 0A라는 단서도 주었습니다. 대입을 다 하고 식이 간소하되었다면, 그 때부터 계산기가 들어..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5번

15. 댐의 부속설비가 아닌 것은? ① 수로 ② 수조 ③ 취수구 ④ 흡출관 (풀이)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일이 수력발전 관련 업무가 아니라, 다소 설명이 부족할 수 있지만, 이번 문제와 관련해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했으니, 양해.해주세요. 댐이라 하면, 물을 가둬놓고 방류하는 설비 잖아요. 댐을 높은 위치에너지는 수차를 돌려 발전기를 만들 수가 있어요. 수차는 충동형과 반동형이 있는데요. 수차를 우리는 터빈이라고 영어로 부릅니다. 충동형은 고낙차에 유리해서 흡출관이 필요없고, 반동형은 저낙차에 유리하지만, 조금이라도 낙차를 더 얻기 위해서 흡출관이 필요합니다. 충동형의 대표적인 수차는 펠톤이라는 터빈이 있고요. 반동형의 대표적인 수차는 프란시스 터빈과 프로펠러 터빈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4번

14. 고장 즉시 동작하는 특성을 갖는 계전기는? ① 순시 계전기 ② 정한시 계전기 ③ 반한시 계전기 ④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풀이) 고장 즉시라는 것은 최소동작전류가 되면,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계전기를 말합니다. 정답은 1번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정한시 계전기는 세팅한 전류값 이상이 흘렀을 때 전류의 크기와 무관하게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작동하는 계전기 예요. 반한시 계전기는 세팅전류 이상 전류가 흐르면, 동작하는 시간과 전류가 반비례관계로 작동하는 계전기 입니다. 정한시 반한시 계전기는 특정 값까지는 반한시의 특성을 가지지만, 그 이상이 되면 정한시 특성에 작동하는 계전기 입니다.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3번

13. 송전선로에서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뇌(雷)의 직격을 받을 경우 송전선 보호 ② 유도뢰에 의한 송전선의 고전위 방지 ③ 통신선에 대한 전자유도장해 경감 ④ 철탑의 접지저항 경감 (풀이) 가공지선은 가공선로에서 맨 상위단에 설치되어서 직격뢰나 유도뢰에 의한 전기적사고를 예방해주는 전선 입니다. 뇌라는 것은 번개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번개가 송전선에 떨어지게 되면 큰 사고가 나게 될 거예요. 가장 큰 설치목적은 직격뢰로 부터 송전선들을 보호하는 목적입니다. 그리고 유도뢰에 의한 송전선의 고전위 방지가 가능하고, 통신선 유도장해도 경감 시켜줍니다. 그런데 철탑의 접지저항 경감은 매설지선의 설치 목적입니다. 철탑하부에서 지면 안으로 매설지선이라는 것을 설치하는데요. 가공전선이 공중에 ..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2번

12. 수전단의 전력원 방정식이 Pr2+(Qr+400)2=250000으로 표현되는 전력계통에서 조상설비 없이 전압을 일정 하게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 있는 부하전력은? (단, 부하는 무유도성이다.) ① 200 ② 250 ③ 300 ④ 3 (풀이) 이 문제는 전력원의 방정식을 그리지 않아도 풀 수 있어요. 센스있게 잘 보셔야 되는데요. 조상설비가 없다는 것은 무효전력이 변화가 없다는 이야기겠네요. 그리고 부하가 무유도성이라는 것은 리액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야기 입니다. 즉, 저항만 있는 부하라는 말이죠. 그러면 역률 100프로에 Qr이 0가 되겠습니다. 3, 4, 5 나 6,8,10 이렇게, 나가는 것을 특수삼각비라고 하는데요. 제 블로그 기초수학에 있습니다. 특수삼각비만 알면 아래와 같이 쉽게 풀수 ..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1번

11. 다음 중 송전계통의 절연협조에 있어서 절연레벨이 가장 낮은 기기는? 1. 피뢰기 2. 변압기 3. 단로기 4. 차단기 (풀이) 절연협조란, 계통 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피뢰기 등이 상호간 적절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해서 계통보호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구성한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충격절연강도(BIL)이라고 기기마다 절연내력을 규정한 것이 있는데, 이것은 절연레벨이라고도 부를 수 있어요. 앞에 설명 무시하시고 여기에서 부터 읽으셔도 되요. 어렵게 이야기 했지만, 쉽게 말씀드리면 낙뢰같은 이상전압을 대비하기 위해, 예를 들어볼께요. 절연레벨이 높을수록 이상전압에 대한 대비가 잘될거예요. 왜냐? 절연이 잘되니까요. 그런데 보기에 나온 전기설비들이 다 절연레벨이 같다면, 돈이 많이 들어갈거예요. 그..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0번

10. 증기터빈 출력을 P(kW), 증기량을 W(t/h), 초압 및 배기의 증기 엔탈피를 각각 i0, i1(kcal/kg)이라 하면 터빈의 효율 ηT(%)는? (풀이) 어느 과목에서나 효율은 무단위 입니다. 즉, 출력을 입력으로 나눠주면 효율이 되는데요. 입력과 출력이 같아서 단위가 약분이 되기 때문에 효율은 단위가 없는 무단위가 되요. 그런데 이 무단위에 100을 곱해지면 %라는 단위가 생겨나게 됩니다. 이 문제는 외우기 보다 답을 찾는 법을 알려드릴께요. 조건에서 출력이 P라고 했으니, 분자가 P인 것을 찾으면 되는데 보기 4개 모두 분자가 P네요. 그런데 톤을 1000을 곱해서 kg로 환산한 뒤 증기량과 엔탈피를 곱해보니까, 단위가 kcal/h로 되네요. 단위시간당 열량으로 단위가 되었네요. 여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