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9번

9. 30,000kW의 전력을 51㎞ 떨어진 지점에 송전하는데 필요한 전압은 약 몇 kV인가? (단, Still의 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① 22 ② 33 ③ 66 ④ 100 (답변) 전력공학에서 경제적인 것을 물어보면 두 사람을 떠올리셔야 되는데요. 캘빈과 스틸입니다. 캘빈은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할 때, 사용하는 법칙입니다. 그리고 스틸은 경제적인 송전전압을 물어보는 법칙이예요. 스틸-볼트(쇠로 된 볼트)이라고 기억하세요. 그런데 이번 문제는 공식을 외워야만 풀수 있는 문제예요. 한 문제라도 더 맞기 위해서 외워도 되지만, 너무 무리해서 외우시지 말고 답만 외우고 가셔도 됩니다. 정석적인 풀이를 같이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20년 전력공학 1회 2회 통합 8번

8. 전력설비의 수용률을 나타낸 것은? (풀이) 수용률과 부하율은 많이 헷갈려 하세요. 위치도 그렇구요. 크기는 부하설비용량>최대수용전력>평균전력 순 인데요. 어떤 %, 즉 점유율을 구하는 식은 반드시는 아니지만. 100%미만으로 큰 값이 분모로 가고 작은 값이 분자로 가는 게 통상적 입니다. 내가 만약 휴대용 배터리를 샀는데요. 이 배터리 용량이 있을 거예요. 그럼 배터리용량이 가장 큰 크기겠어요. 이것을 부하설비용량으로 보시면 되고요. 그런데 노트북도 꼽아서 쓰고 휴대용 LED보조등도 꼽아서 섰어요. 그런데 노트북이랑 LED를 같이 쓸 때가 가장 배터리가 빨리 줄었어요. 그럼 이 때가 전기가 최대수용전력이 되겠네요. 그런데, 노트북만 쓸 때도 있고, LED보조등 만 꼽을 때도 있고 둘다 같이 쓸때도 ..

20년 전력공학 1회 2회 통합 7번

9. 전선의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②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③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④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풀이) 표피효과는 교류전류를에 대해서 전류가 전선의 도체 부분인 아닌 바깥쪽으로 흐르려는 성질인데요. 도체 내부로 흘러야 하는 교류 전류가 내부 인덕턴스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인덕턴스가 리액턴스(저항성분)을 만들고, 자꾸 밖으로 내보내는 성질 입니다. 주파수때문에 이 특성이 발생이 되는데요. 주파수가 없는 직류는 표피현상이 없어요. 표피효과는 주파수, 투자율, 도전율, 전선의 굵기에 비례하는데요. 이 부분은 쉽게 앞글자만 따서 표피효과는 '주(식)투자도전' ..

20년 전력공학 1회 2회 통합 6번

6. 일반 회로정수가 같은 평형 2회선에서 A, B, C, D는 각각 1회선의 경우의 몇 배로 되는가? ① A : 2배, B : 2배, C : 1/2배, D : 1배 ② A : 1배, B : 2배, C : 1/2배, D : 1배 ③ A : 1배, B : 1/2배, C : 2배, D : 1배 ④ A : 1배, B : 1/2배, C : 2배, D : 2배 (풀이) 병렬 2회선 회로에 대한 선로정수의 변화를 묻는 문제인데요. 기출문제 풀이 마다 조금씩 다르게 푸는데요. 일단, 선로정수를 이해해서 푸는 방법이 있고, 위 사진처럼 직접 계산하는 방법이 있어요. 일단 선로정수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선로정수 A, B ,C ,D는 각각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A가 전압비, B가 임피던스, C가 어드미턴스, D가 전류비를..

20년 1회 전력공학 1회 2회 통합 4번

4. 중성점 직접접지방식의 발전기가 있다.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단, Z1, Z2, Z3는 각각 정상, 역상, 영상 임피던스이며, Ea는 지락된 상의 무부하 기전력이다. (풀이) 1선 지락 고장 시, 흐르는 지락전류를 묻는 문제입니다. 별도로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지만, 조금 복잡하기도 하고, 유도하다가는 시험시간이 매우 아까우실 거예요. Ig=3I0라는 사실을 공식처럼 알고 있으면 바로 정답인 3번을 찾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Z0, Z1, Z2를 각각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라고 부르고, 전압을 임피던스의 총합으로 나누어 준 것이 영상정류 I0가 되는 거예요.

20년 전력공학 1회 2회통합 3번

3. 단로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소호장치가 있어 아크를 소멸 시킨다. ② 무부하 및 여자전류의 개폐에 사용된다. ③ 사용 회로수에 의해 분류하면 단투형과 쌍투형이 있다. ④ 회로의 분리 또는 계통의 접속 변경 시 사용한다. (풀이) 단로기는 무부하 개폐 장치입니다. 보기를 보게 되면 1번에 소호장치가 있어 아크를 소멸시킨다. 소호장치가 있다는 것은 차단기를 의미하는 말이예요. 단로기는 전기가 흐르지 않을 때만 온오프가 가능합니다. 즉, 아크소멸 기능이 없는 거죠. 전기 자체가 없을 때 움직이는 설비니까요. 정답은 1번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가볍게 읽고 넘어가세요.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2번

2. 3상 3선식에서 전선 한 가닥에 흐르는 전류는 단상 2선식의 경우의 몇 배가 되는가? (단, 송전전력, 부하역률, 송전 거리, 전력손실 및 선간전압이 같다.) (풀이) 기본적인 계산문제네요. 모든 조건이 같다고 했으니까, 송전전력을 기준으로 문제를 풀면 정답이 1번이 되겠습니다. 기준 대비 알고 싶은 것을 요구하면 기준이 분모로 가고 알고 싶은 것이 분자로 간다는 것을 숙지하세요. 그리고 번분수과정에서 약분하는 계산은 실기에서도 다른 과목에서 많이 쓰이니 시간 되실 때 자주 연습해 두세요

20년 전력공학 1회2회 통합 1번

1. 송배전 선로에서 선택지락계전기(SGR)의 용도는? ① 다회선에서 접지 고장 회선의 선택 ②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대소 선택 ③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방향 선택 ④ 단일 회선에서 접지 사고의 지속 시간 선택 (풀이) 선택지락계전기는 선택접지 계전기라고도 부르는 보호계전 설비 입니다. 67G라고 불리기도 하고요. 비접지계통의 다회선 사용에서 지락사고 발생 시에 영상전압, 영상전류 그리고 위상각으로 동작여부를 결정해 사고회선만 선택하여 차단하는 설비 입니다. 지락이라는 말이 나오면, 일단 접지 관련된 보기를 찾으면 되는데, 보기가 전부 접지 관련 이네요. 그런데 설비명 대로 선택이라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찾아야 하니, 1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참고로 DGR이라고 방향지락계전기가 있는데, 접..

22년 산업인력공단 기사 시험일정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새해가 벌써 3주가량 지났어요. 22년 기사시험 일정을 공유드릴께요. 1월24일부터 1월 27일까지 1회차 시험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일정도 아래 캡쳐사진 확인하시구요. 전기기사는 22년 3회차부터 CBT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22년 1회와 2회는 손으로 푸는 PBT이고요. CBT시험은 시험끝남과 동시에 합격여부가 나온다고 합니다. CBT는 문제은행식으로 배분다고 하는데 합격률은 개인차나 운도 작용할 듯 싶어요. 원서접수 기간은 항상 체크해두시고 올해 꼭 좋은 결과 가져가시길 기원합니다.

MY VIEW 202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