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기설비기술기준 19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0번

10. 애자공사에 의한 저압 옥측전선로는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1 ② 1.5 ③ 2 ④ 3 (풀이) KEC221.2에 옥측전선로의 애자공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참고하거나 깊게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전문을 다 넣어놨습니다. 아래 규정을 모두 숙지하고 있다면 좋겠지만, 시간적으로나 두뇌적으로나 이건 비효율적일 거예요. 그래서 다른 교재나 요약집에도 나와 있지만 저도 한번 더 짚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지지점간의 거리' 1. 합성수지관 1.5m 2. 애자 2m 3. 라이팅덕트 2m 4. 금속덕트 3m 5. 버스덕트 3m 6. 케이블 2m 7. 캡타이어케이블 1m 이 부분을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타인의 암기법이나 숙..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9번

9.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전력소비지역 부근에 분산하여 배치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등의 전원으로 정의되는 용어는? ① 임시전력원 ② 분전반전원 ③ 분산형전원 ④ 계통연계전원 (풀이) 'KEC 110 일반사항 112 용어정의'에 대한 내용 입니다. 문제에 답이 있는 문제인데요. 문제에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분산하여 배치라는 내용에서 센스있게 정답 3번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KEC에서 계통연계라는 의미는 있지만, 계통연계전원이라는 용어는 찾을 수가 없네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분산형전원”이란 중앙급전 전원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전력소비지역 부근에 분산하여 배치 가능한 전원을 말한다. 상용전원의 정전시에만 사용하는 비상용 예비전원은 제외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등을 ..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7번

7.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인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으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① 0.6 ② 1.0 ③ 1.2 ④ 1.5 (풀이) KEC 334 지중전선로에 대한 내용 입니다. 땅 아래로 케이슬을 시설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입니다. 직접 매설식은 줄임말로 직매식이라고도 합니다.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경우니까. 정답 2번 1.0m를 찾을 수 있습니다. 334 지중전선로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1. 지중 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관로식·암거식(暗渠式) 또는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2.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가.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5번

5. 진열장 내의 배선으로 사용전압 400V 이하에 사용하는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최소 단면적은 몇 mm2인가? ① 1.25 ② 1.0 ③ 0.75 ④ 0.5 (풀이) KEC 234.8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배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문제는 규정을 암기해야만 풀이가 가능한 문제 입니다. 정답은 3번 이며, 다회독 하면서 익숙해지세요. 234.8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배선 1.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에 사용전압이 400 V 이하의 배선을 외부에서 잘 보이는 장소에 한하여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로 직접 조영재에 밀착하여 배선할 수 있다. 2. 제1의 배선은 단면적 0.75 ㎟ 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4번

4.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급전선은 비절연보호도체, 매설접지도체,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 ② 가공식은 전차선의 높이 이상으로 전차선로 지지물에 병가하며, 나전선의 접속은 직선접속을 원칙으로 한다. ③ 선상승강장, 인도교, 과선교 또는 교량 하부 등에 설치할 때에는 최소 절연이격거리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④ 신설 터널 내 급전선을 가공으로 설계할 경우 지지물의 취부는 C찬넬 또는 매입전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풀이) 급전선로와 귀선로에 대한 특징을 묻는 문제 입니다. 귀선로의 특징을 이야기 하는 1번이 틀린 답으로 찾아주시면 됩니다. 전차관련된 문제는 직관적으로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인데요. 여기서 전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은 전차선 입니..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3번

3. 사용전압이 22.9㎸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그 지지물·완금류· 지주 또는 지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15 ② 20 ③ 25 ④ 30 (풀이) KEC 333.5 에 해당하는 내용 입니다. 일단 표에서 찾으면 2번 0.2m 즉, 20cm가 되겠습니다. 특고압이면 7kV초과하는 전압인데요. 대표적인 공칭특고압은 아래와 같아요. 22.9kV, 66kV,154kV, 345kV, 765kV 그런데 이 전압들을 아래표에서 찾으면 0.2, 0.4, 0.9, 1.6, 1.6 이예요. 즉, 소수점 첫째짜리 딱 떨어집니다. 그래서 단위 환산했을 때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간 1번 3번은 일단 탈락입니다. 이렇게 기억하면 정답률을 조금 더 높일 수 있고요. 이것도 싫다 하시면 22.9kV 와 154k..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2번

2. 고압 가공전선으로 사용한 경동선은 안전율이 얼마 이상인 이도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① 2.0 ② 2.2 ③ 2.5 ④ 3.0 (풀이) KEC 332.4에 해당하는 문제 입니다. 332.4 고압 가공전선의 안전율 '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다음에 규정하는 경우에 그 안전율이 경동선 또는 내열 동합금선은 2.2 이상, 그 밖의 전선은 2.5 이상이 되는 이도(弛度)로 시설하여야 한다.' 가공전선의 안전율에 대한 문제는 고압이나 특고압에 관계 없이 위의 내용과 같고, 가공케이블용 조가용선, 가공지선, 가공전선의 안전율은 같습니다. 즉, 가공전선의 안전율이 나오면 경동선이나 내열 동합금선 인지 확인하면 되고 맞다면 2.2를 아니면 2.5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고압의 경동선을 묻는 문제이니까..

22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KEC 1번

1. 저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될 때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전선이 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이 아닌 경우이다.) ① 60 ② 80 ③ 100 ④ 1200 (풀이) KEC 222는 저압가공선로에 대한 규정인데요. 문제의 항목은 222.14 저압가공선과 안테나와의 접근 또는 교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222.14 저압 가공전선과 안테나의 접근 또는 교차 저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 또는 교차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는 332.14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이것은 다시 332.14를 따르라고 명시가 되어 있는데요. 332.14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332.14 고압 가공전선과 안테나의 접근 또는 교차 1. 저압 가공전선 또는 고압 가공..

18년 1회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1번

1. 태양전지 모듈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충전부분은 노출하여 시설할 것 ② 출력배선은 극성별로 확인 가능토록 표시할 것 ③ 전선은 공칭단면적 1.5mm2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할 것 ④ 전선을 옥내에 시설할 경우에는 애자사용 공사에 준하여 시설할 것 풀이) ① 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 해야 됩니다. (상식적인 개념입니다. 오답) ② 출력배선은 극성별로 확인 가능토록 표시해야 됩니다. (상식적인 개념입니다. 정답) ③ 전선은 공칭단면적 2.5mm2 이상의 연동선일 것. (수치를 잘모르겠으면 맞다고 생각하세요.) ④ 태양광설비 시설의 경우 옥내, 옥측, 옥외 시설 : 합성수지관공사, 금속관공사, 가요전선관 공사, 케이블 공사 → 태양광설비의 경우 애자공사에 준하여 시설해서는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