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 412

20년 1회2회 회로이론 9번

9. (풀이) Y결선의 선간전압과 상전압의 관계를 묻는 문제 입니다. 전압의 크기와 위상이 어떤 관계인지를 아는 지가 핵심인데요. 사실 아래 풀이는 간단하게 벡터도를 그려 이해를 도왔지만, 참고만 하시구요. 실제 시험에서는 아래처럼 풀어서는 문제가 있고요. 'Y결선의 선간전압은 상전압 대비 루트3배의 크기를 가지고 위상이 30도 앞선다. Y결선 시, 선간전류와 상전류의 위상과 크기는 같다.' 이게 핵심이고요. 더불어서 알면 좋은 건 '델타결선의 선간전류는 상전류 대비 루트3배의 크기를 가지고 위상이 30도 뒤진다. 대신 델타결선 시, 선간전압과 상전압의 크기나 위상은 같다.' 입니다. 현업에서도 종종 알면 활용되기 때문에 꼭 익혀두세요. 예를들면 3상4선식 Y결선 선간전압은 380V이지만, 상전압은 22..

20년 1회2회 회로이론 8번

8. 그림과 같이 결선된 회로의 단자 (a, b, c)에 선간전압 V(V)인 평형 3상 전압을 인가할 때 상전류 I(A)의 크기는? (풀이) 이 문제는 평형 델타를 평형 Y로 바꾼 후, 상전류를 구하고, Y의 상전류가 델타의 선전류가 되고, 이것을 루트3으로 나눈 것이 우리가 구하려는 델타의 상전류다라는 것을 알면 풀 수 있는데요. 다소 헷갈리긴 하지만, 두세번 반복하면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정답은 1번 입니다.

20년 1회2회 회로이론 7번

7. 8+j6(Ω)인 임피던스에 13+j20 (V)의 전압을 인가할 때 복소전력은 약 몇 VA인가? ① 127+j34.1 ② 12.7+j55.5 ③ 45.5+j34.1 ④ 45.5+j55.5 (풀이) 복소전력을 구하는 문제네요. 일반적으로 전력은 전압과 전류를 곱해서 나타나는데요. 교류에서는 위상이라는 것이 있어요. 그리고 교류에서는 허수를 사용해 복소수로 전압이나 전류를 표현하는데요. 여기에서 전압 혹은 전류의 복소수에 공액(켤레복소수)을 취하지 않게 되면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위상합이 되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교류 복소전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압이나 전류에 켤레복소수를 취한 후, 답을 찾게 되는데요. 기사문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전류에 취해주세요. 정답은 3번 입니다.

20년 1회2회 회로이론 6번

6. 그림은 회로에서 영상임피던스 Z01이 6Ω일 때, 저항 R의 값은 몇 Ω인가? (풀이) 이 문제는 영상임피던스 공식과 4단자 정수를 산출할 줄 알면 쉽게 구할 수 있는 문제인데요. 대부분 4단자 정수를 공식처럼 외우듯이 푸시더라구요. 저는 정석적인 풀이로 푸는데요. 공부하다 보면 외울게 너무 많아 시험때 당황하니, 가급적 계산은 정석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편 입니다. 직렬 임피던스면 단위행렬의 B자리에 임피던스를 넣고, 병렬 어드미턴스면 단위행렬의 C자리에 어드미턴스를 넣고 풉니다. 어떤 방식이든 본인이 맞는 방식으로 푸시면 되세요. 그리고 영상임피던스의 입력은 Z01이고, 출력은 Z02입니다. 이런 정보들을 조합해서 풀면 정답 2번을 찾으실 수 있어요.

20년 1회2회 회로이론 4번

4. v(t)=3+5√2sinωt+10√2sin(3ωt-π/3)(V)의 실효값 크기는 약 몇 V인가? ① 9.6② 10.6 ③ 11.6④ 12.6 (풀이) 실효값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네요. 삼각함수가 있는 정현파 실효값은 최대값을 루트2로 나눈 값 이예요. 그런데 앞에 3이라고 삼각함수가 없는 값이 있어요. 이것은 직류분 전압 입니다. 직류는 최대값과 실효값이 같아요. (여기서는 다루지 않지만 물론, 평균값도 같습니다.)

20년 1회2회 회로이론 3번

3. 선로의 단위 길이 당 인덕턴스, 저항, 정전용량, 누설 컨덕턴스를 각각 L, R, C, G라 하면 전파정수는? (풀이) 전파정수에 관한 문제네요. 장거리 송전선로에서 송전단~수전단으로 전력을 보내줄 때,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낮아지고, 위상이 변화하게 되는데요.(보통은 위상이 늦어지죠.) 그것을 수치로 표현한 것을 전파정수라고 합니다. 이 전파정수는 다시 실수부인 감쇠정수부와 허수부인 위상정수부로 나눠지는데요. 문제를 풀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이 전파정수가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곱에 루트를 씌었다는 거죠. 그래서 볼 것도 없이 정답은 2번이 되겠어요.

20년 1회2회 회로이론 2번

2. 3상 전류가 Ia=10+j3(A), Ib=-5-j2(A), Ic=-3+j4일 때 정상분 전류의 크기는 약 몇 A 인가? ① 5② 6.4③ 10.5④ 13.34 (풀이) 정상분 전류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네요. 계산기만 쓸줄 알면 쉽게 나오는 문제 입니다. 일단 3상 대칭좌표법의 영상, 정상, 역상 공식을 알아야 문제 풀이가 가능 합니다. 정상공식에 그대로 수치만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공학용 계산기가 정답 2번을 찾아줄 겁니다.

20년 1회2회 회로이론 1번

1. f(t)=t^2e^-at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풀이) 시간함수에 e^-at 나 e^at 가 곱의 형태로 나타나는 형태를 복소추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을 라플라스 변환하게 되면 앞에 있는 라플라스 변환을 한 후 s를 s+a(e^-at의 경우) 나 s-a (e^at의 경우) 바꿔주면 됩니다. 앞에 있는 라플라스 변환을 할 줄 알면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닌데요. 나오는 문제가 거의 정해져 있기 때문에, 문제가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하죠. 정답은 3번 입니다.

22년 2회 회로이론 10번

10. (풀이) 라플라스 변환인데요.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가 나왔습니다. 풀이는 드리나, 이 문제 풀려고 시간 보내느니, 답만 외우거나 과감하게 패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라플라스 변환 중 삼각함수가 나오는 변환이고, 중간에도 식을 변형시켜야할 부분이 많은 개인적으로 고난이도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