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17

18년 3회 전력공학 3번

3. 배전선의 전압조정장치가 아닌 것은? ① 승압기 ② 리클로저 ③ 유도전압조정기 ④ 주상변압기 탭 절환장치 (풀이) 전압조정장치는 말 그대로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승압기를 통해서 전압을 승압하고 유도전압변압기는 단권변압기와 비슷한 구조인데, 전동기를 회전시켜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서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 입니다. 변압기 탭 절환은 변압기의 탭 변환을 통해 전압을 조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클로저는 일단 송전선로에서 지락사고가 났을 때 사고범위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지락이 발생한 선로를 자동으로 차단 복구하는 장비를 이야기 합니다. 따라서 전압 조정과 무관한 ② 리클로저 가 정답이 되겠습니다.

[전기수학기초-28강]행렬의 심화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배웠던 행렬을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죠. 세부적이라고 해봤자, 단위행렬, 영행렬, 역행렬 정도의 정의만 이해하면 되고요. 행렬의 판별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행렬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추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에서 나오는 행렬에서 가급적 계산기를 사용하여 연산하도록 하겠으니, 너무 부담가지지 마세요. 그럼, START!!! ① 단위행렬은 수에서 어떤 수에 1을 곱을 곱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양은 정사각행렬이고, 대각선의 원소가 1이며,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행렬이예요. 수학적인 용어로 1은 곱셈의 항등원이라고 하는데요. 즉, 어떤 수에 자기자신을 곱하면 자기 자신이 되는 것과 같이 행렬에서도 어떤 행렬에 단위행렬을 곱하면 자기자신이..

전기기초수학 2021.03.17

[전기수학기초-21강]함수의 기초 및 1차 함수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등식이 아닌 다항식을 정리하는 방법을 배웠고,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들도 배웠어요. 함수는 그것보다는 한 단계 위의 공부예요. 다항식은 식을 정리하는 과정이었고, 방정식은 단항식이나 다항식에서 답을 구하는 과정이었죠. 함수는 두 변수 x,y에 대하여 일정한 관계가 있을 때, 두 식의 관계를 구하는 과정이예요. 말이 좀 어렵죠. 이해만 하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전기공학에서는 외우는 공식들이 다 이 함수 과정이예요. (이해하고 공부하면 많이 도움이 되요.) x를 입력, y를 출력이라고 가정하면 이해가 쉬워요. tv리모콘의 볼륨버튼을 생각하면 되는데요. 리모콘 볼륨 1씩 올리면, 스피커소리도 그에 맞게 커지잖아요. 그래서 우리는 볼..

전기기초수학 2020.12.03

[전기수학기초-20강]좌표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업데이트가 많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꾸벅~~ 오늘은 '좌표의 이해'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해요. 1차원, 2차원, 3차원 좌표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차원은 선, 2차원은 면, 3차원은 입체로 표현되요. 좌표를 잘 이해하면 전자기학이나 제어공학에 대한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함수나 다양한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고, 응용되는 2차원 면에 대한 좌표는 유명한 수학자 데카르트가 누워있다가, 움직이는 파리를 보고 만들었다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죠.이 단원 너무 부담가지지 말고, 가볍게 보셨으면 해요.오늘은 좌표에 점을 찍으면, 그 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있는지만 공부하세요. ① 1차원 말 그대로 수평선 위에 찍는 ..

전기기초수학 2020.11.22

[전기수학기초-19강]피타고라스의 정리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오늘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수학자 피타고라스가 발견한 정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인데요.'피타고라스가 발견했다 안했다.' 해서 말이 많은 정리 입니다.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의 제곱은나머지 양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라는 것을 의미해요.전기기사에서는 임피던스의 크기, 전하의 거리, 역률 등을 계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여러가지로 응용도 합니다.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성립되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은 직각삼각형이어야만 합니다.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하나씩 이해해 나가기로 해요. ①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보았어요.각도 90도와 마주보고 있는 가장 긴 변은 나머지 두변의 각 제곱의 합과 같아요. 이해..

전기기초수학 2020.11.10

[전기수학기초-18강]방정식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오늘은 방정식에 대해서 알아보죠.방정식은 '미지수를 포함한 식에서 미지수의 답을 구하는 등식'입니다.여기서 등식이란, '='의 기호(등호)가 들어가고, 좌변과 우변이 같은 식을 말해요.전기기사 계산 문제는 방정식을 구하는 문제가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죠. 종류와 답을 구하는 과정도 다양하고, 풀이 과정도 때로는 복잡할 수 있으나 대부분 일차나 이차 방정식의 답을 구하는 과정이니 부담 가질 필요는 없어요.방정식은 공학용 계산기의 solve나 등식이라는 특수 기능을 이용해 계산이 가능하지만, 이 부분은 추후 별도로 다루도록 할께요. 우리는 방정식의 기본은 꼭 알고, 넘어가기로 해요. ⓛ 방정식의 종류는 매우 많아요. 그 중 전기기사 시험에 잘 다루는 1차 방정식, 2차 방정식 그..

전기기초수학 2020.11.10

[전기수학기초-3강]문자가 있는 곱셈

[전기수학기초-3강]문자가 있는 곱셈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문자가 있는 곱셈'을 공부하도록 합시다. 이 과정을 공부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전기기사의 공식을 숫자로 기억하기란 매우 어렵기 때문이예요. 숙달하게 되면 '이 부분이 곱해진 거구나!' '이 부분은 더 간소화(약분)할 수 있겠는데?' 라는 판단이 가능하게 됩니다. 어려운 공식과 풀이도 더 쉽게 이해하고 외울 수 있게 되죠. 그래서 이번 시간은 가장 기초가 되는 '문자가 있는 곱셈'을 공부하고, 다음 시간에는 심화과정인 '문자가 있는 나눗셈' 을 배우도록 하죠. 문자가 있는 곱셈의 목적은 간소화 입니다. 각 내용들은 간단히 정리하면 ① 숫자는 항상 문자보다 앞에 온다는 점. 숫자와 문자사이에는 곱하기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아셔야 ..

전기기초수학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