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무리수 및 근호의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무리수란, '합리적이지 않은 수'를 의미해요. 무리수는 분수 표현이 불가하고,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불규칙적인 수가 반복되죠. 학교 다닐 때는 '√2', '√3', '√5'가 시험에 잘나온다고 수학선생님이 소수점 셋째짜리 까지 외우라고 했어요.
(무조건 √를 넣어준다고 무리수가 아닙니다. √1이나, √4는 유리수예요. 아래 설명 참조하세요.) 특히, √3은 삼각함수 단원이나 전기기사 삼상 교류 전력량을 계산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제곱근의 계산이나 지수법칙을 풀이 할 때도 도움이 되죠.
![](https://blog.kakaocdn.net/dn/bwLq7j/btqKgEUiG6m/5h4q88EjiM5ubdmdOh0Y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6QRcN/btqKiaSF3Ni/uWnUsSzbsNkU7BUWg8MFXk/img.png)
① 우리는 거의 모든 수를 배웠습니다. 1강의 숫자의 이해 단원을 보면, 가장 상위 수는 실수와 허수인데요. 이 실수가 다시 유리수와 무리수로 나눠지죠. 무리수라는 것은 규칙적이거나 딱 떨어지는 유리수와는 달리, 약간 지저분 하죠. 소수점 아래 규칙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 불규칙적인 무리수를 'π' 등과 같은 특수문자나 거듭제곱꼴로 나타낼 수 없는 숫자에 √를 씌워 표현 합니다. √는 최소 소수점 둘째 자리 까지 외우면 시험에 유리할 수도 있지만, 외우려고 부담가지지 마세요. 우리에겐 공학용 계산기가 있으니까요.
② 서두에 √ 가 있다고 해서 다 유리수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했어요. √ 는 무리수보다 큰 범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의 내부에 있는 숫자나 문자가 거듭제곱 꼴로 변경이 되지 않으면, 다 무리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거듭제곱 꼴로 되는 숫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1, 4, 9, 16, 25, 36, 49...과 같이 거듭제곱 꼴은 다 유리수입니다. (분수의 거듭제곱 꼴도 가능합니다.) 반면, 나머지 숫자는 다 무리수가 되는 겁니다.
√라는 것은 자료에서 보시다시피, √ 는 루트 안에 있는 수를 1/2제곱 한 값이죠.
√의 앞에 작은2가 들어가야 하나, 2를 생략하고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예전 사람들도 귀차니즘이죠...)
그러나, 3√부터는 생략이 불가합니다. 그래서 내부에 있는 숫자를 1/3제곱하게 됩니다.
전기수학기초 강의자료를 올리면, 정의를 기술한 내용이 많아요. 하지만, 긴 글을 다 읽거나 외우실 필요는 없어요. 제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중간에 PPT를 스캔한 자료 입니다. '이 과정이 무엇인지 정통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의는 알지 못해도 해결하는 방법을 알면 된다.' 는 이야기이죠. 그래서 지금 과정이 쉽다고 생각하시면, 중간에 있는 스캔만 한번 훓터 보고 지나가시면 되요. 하지만, '나는 좀 부족하다.' 라고 생각하면 일단 포스팅을 쭉 읽으세요. 그래도 '모르겠다. 이해가 하나도 안된다.' 그러면 모르는 부분을 댓글 남겨주세요.
오늘은 문제 풀이가 없습니다.
저는 여러분을 항상 응원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전기기초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수학기초-10강]제곱근(근호)을 포함한 사칙연산 (0) | 2020.10.11 |
---|---|
[전기수학기초-9강]지수법칙의 이해 (0) | 2020.10.08 |
[전기수학기초-7강]분수의 지수화 및 거듭제곱의 이해 (0) | 2020.10.05 |
[전기수학기초-6강]분수의 곱셈, 번분수, 부분분수 (2) | 2020.10.04 |
[전기수학기초-5강]분수의 덧셈과 뺄셈 그리고 기약분수 (5)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