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방정식에 대해서 알아보죠.
방정식은 '미지수를 포함한 식에서 미지수의 답을
구하는 등식'입니다.
여기서 등식이란, '='의 기호(등호)가 들어가고,
좌변과 우변이 같은 식을 말해요.
전기기사 계산 문제는 방정식을 구하는 문제가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죠.
종류와 답을 구하는 과정도 다양하고, 풀이 과정도
때로는 복잡할 수 있으나 대부분 일차나 이차 방정식의
답을 구하는 과정이니 부담 가질 필요는 없어요.
방정식은 공학용 계산기의 solve나 등식이라는 특수 기능을 이용해 계산이 가능하지만, 이 부분은 추후
별도로 다루도록 할께요.
우리는 방정식의 기본은 꼭 알고, 넘어가기로 해요.
![](https://blog.kakaocdn.net/dn/SMtbP/btqM0rRGSVX/uR03QV9Z5qEvWJruz0pB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pEXyX/btqMTgi5OUJ/zsFjItazlh95qDU6y3vL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jHtC/btqM5eX6SmY/OHN9DchFraGfxV0WkSS8rK/img.png)
ⓛ 방정식의 종류는 매우 많아요.
그 중 전기기사 시험에 잘 다루는 1차 방정식, 2차 방정식 그리고 연립 방정식의 구조를 기재해봤어요.
우리는 등식의 왼쪽을 '좌변'이라고 하고, '미지수'는 가급적
좌변으로 보내야 풀이가 쉬어요.
그리고 등식의 오른쪽을 '우변'이라고 하고, 이 부분은 대체로 '상수'나 '0'이 많이 위치합니다.
② 사칙연산을 푸는 것과 마찬가지로 등호가 가운데에 있으면, 양변에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거나 0이 아닌 수로 나누어도 등식은 성립합니다.
이것은 방정식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요.
(함수에도 적용되요.)
등호라는 것 자체가 좌변과 우변이 같다는 의미니까,
등호가 있다면 어떠한 식도 사칙연산이 가능한 거죠.
덧셈과 뺄셈은 가급적 이항으로 계산하는 것 잊지 않으셨죠?
③ 방정식을 푸는 방법은 대걔 형태에 따라 Ex1,2,3과 같은 방식으로 구하지만, 자신에게 더 편한 방법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해도 무방해요.
전기기사에서 '2차 방정식 이상의 고차방정식 풀이가 필요할까?'라는 의문이 드네요.
전 2차 방정식까지의 답을 풀이 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과정에 대한 이해만 알면 돼죠.
고등하교 시절에 근의 공식이라고 해서 외웠던 공식
기억나나요?
근의 공식은 2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공식이죠.
(미지수 x는 마이너스 b플러스 마이너스...주저리주저리...)
지금도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저는 외우고 있지만,
이 공식을 몰라도 전기기사 문제 푸는 데에 아무 문제 없어요.
'나는 너무 유도하는 과정이 궁금하다.'라고 생각하시면 제가 유도과정을 보여드릴께요.
그만큼 저는 공부할 의미가 없는 공식이라고 생각해요.
전기기사에서 근의 공식을 구할 정도의 문제는 잘 다루지 않아요.
하지만, 공학용 계산기로 충분히 가능합니다.
1차 방정식, 2차 방정식, 연립방정식까지 풀이가 가능하죠.
천천히 따라 오시면, 전기기사 충분히취득 가능합니다.
항상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전기기초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수학기초-20강]좌표의 이해 (1) | 2020.11.22 |
---|---|
[전기수학기초-19강]피타고라스의 정리 (3) | 2020.11.10 |
[전기수학기초-17강]인수분해의 이해 (1) | 2020.11.02 |
[전기수학기초-16강]다항식의 이해 (1) | 2020.10.28 |
[전기수학기초-15강]제곱공식과 합차공식 (1)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