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18년 3회 전력공학 8번

8. 송전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이 아닌 것은? ① 전압 변동을 적게 한다. ② 고속도 재폐로 방식을 채용한다. ③ 고장시간, 고장전류를 적게 한다. ④ 계통의 직렬 리액턴스를 증가시킨다. ◆ 풀이 송전계통을 어떻게 하면 안정적일까? 보기를 하나씩 해석해봅시다. 전압변동이 크게 되면 부하 측이 정상적으로 운용되지 않을 거예요. 상식적으로 전압변동을 적게 해야 됩니다. 맞는 보기에요. 고속도 재폐로 방식을 채용하여 송전선로에 이상이 있으면 신속히 차단했다가 복구해야 되니까 맞는 보기 입니다. 고장시간이나 고장전류가 적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 입니다. 남은 ④이 답 인데요. 직렬 리액턴스와 전력계통 공급전력이 반비례관계 이기 때문입니다.

18년 3회 전력공학 7번

7. 3상 송전선로에서 선간단락이 발생하였을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역상전류만 흐른다. ② 정상전류와 역상전류가 흐른다. ③ 역상전류와 영상전류가 흐른다. ④ 정상전류와 영상전류가 흐른다. ◆ 풀이 교류전원의 사고를 파악하기 위해서, ‘대칭좌표법’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요. 대칭좌표법은 사고에 대한 전원의 성분을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으로 따로 나누어 계산한 후 이를 중첩해 구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이 문제는 암기가 있어야 되는데요. 아래의 표를 보고 암기하시면 눈에 들어오실 거예요.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어떠한 대칭분이 있냐고 문제에서 묻는다면? ‘지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볼 것도 없이 영상, 정상, 역상 모두가 있는 거고요. ‘선간 단락’사고는 정상, 역상이라고 보시고, 3’상 단락’ 사..

18년 3회 전력공학 6번

6. 서지파(진행파)가 서지 임피던스 Z1의 선로측에서 서지임피던스 Z2의 선로측으로 입사할 때 투과계수(투과파전압÷입사파 전압) b를 나타내는 식은? ◆ 풀이 서지파라는 것은 주로 낙뢰의 직격뢰를 말해요. 직격뢰를 통하는 입사파, 투과파, 반사파가 관련된 반사계수와 투과계수 문제를 물어보네요. 공식을 그냥 외워도 되지만 의미를 이해하면 좀 더 쉽게 공식이 외워진답니다. 입사파인 서지파가 전선에 맞게 되서 진행하다가 접속점이라는 것을 만나게 됩니다. 접속점에서 송전측과 부하측의 임피던스가 달라요. 왜냐하면 케이블도 다른 것을 사용하고 설치 환경도 다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서지파가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지점, 접속점이나 변이점까지 오게 되면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게 됩니다. 만약 선로의 임피던스가 ..

18년 3회 전력공학 5번

5. 그림과 같은 선로의 등가선간거리는 몇 m인가? ① 5 ② 5√2 ③ 5∛2 ④ 10∛2 ◆ 풀이 등가선간거리란, '송변전선로에서 각 상의 전선 간의 거리인데, 이 거리를 수학적/역학적 값으로 변환한 거리 입니다. 이 등가선간거리는 선로의 선로정수를 구할 때 쓰게 됩니다. 특히 선로의 L과 C를 구할 때, 이 등가선간거리가 많이 사용됩니다. 가공선로의 3선 송전할 때, 평형배치와 삼각배치를 아래 정리했어요. 문제는 평형배치를 묻는 문제입니다. 답을 구하는 과정은 동일합니다. 3선식을 주의깊게 봐주시고, 풀이를 잘 참조해주세요. 정답은 ③ 5√(3&2) 입니다.

18년 3회 전력공학 4번

4. 발전기 또는 주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① 거리계전기 ② 과전류계전기 ③ 비율차동계전기 ④ 방향단락계전기 ◆ 풀이 문제에서 발전기 또는 주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이라고 단서를 던졌네요. 우선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③ 비율차동계전기' 가 되겠습니다. 비율차동계전기는 Ratio Differential Current Relay 라고 합니다. 약어로는 RDR이라고 부르고요. 계전기 고유번호는 87번입니다. 변압기면 87T라고 부르고요. 발전기면 87G라고 불러요. 이 계전기는 1차즉과 2차측에 CT를 달아서 전류를 측정하고, 전류의 차가 일정비율 이상 차이가 났을 때 동작하는 릴레이 입니다. 변압기 1차측과 2차측에 CT를 두고 전류의 차가 많이 나게 되면 차단기를 동작(트립..

18년 3회 전력공학 3번

3. 배전선의 전압조정장치가 아닌 것은? ① 승압기 ② 리클로저 ③ 유도전압조정기 ④ 주상변압기 탭 절환장치 (풀이) 전압조정장치는 말 그대로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승압기를 통해서 전압을 승압하고 유도전압변압기는 단권변압기와 비슷한 구조인데, 전동기를 회전시켜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서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 입니다. 변압기 탭 절환은 변압기의 탭 변환을 통해 전압을 조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클로저는 일단 송전선로에서 지락사고가 났을 때 사고범위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지락이 발생한 선로를 자동으로 차단 복구하는 장비를 이야기 합니다. 따라서 전압 조정과 무관한 ② 리클로저 가 정답이 되겠습니다.

18년 3회 전력공학 2번

2. 1년 365일 중 185일은 이 양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유량은? ① 평수량 ② 풍수량 ③ 고수량 ④ 저수량 ◆ 풀이 이 문제는 사실 전기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력발전의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용어라고 합니다.] 0~100의 평균은 절반인 50이니까, 365일의 절반은 185일 그러니까, 평수량 이렇게 외우세요. 이 문제에 너무 스트레스 받으면서 공부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정답은 ① 평수량 입니다. 아래 표는 간단하게 살펴보세요. 구분 의미 영문 해석 평수량 평수위 OWL (Ordinary Water Level) 일상적인 수위로 일년 중 절반 정도, 약 185일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양 풍수량 풍수위 AWL (Abundant Water Level) 풍부한..

18년 3회 전력공학 1번

1. 변류기 수리 시 2차측을 단락 시키는 이유는? ① 1차측 과전류 방지 ② 2차측 과전류 방지 ③ 1차측 과전압 방지 ④ 2차측 과전압 방지 ◆ 풀이 변류기(CT)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만들어주는 변성기 입니다. 1차측과 2차측의 자속관계를 이용해 전류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이야기가 적용된 변성기이죠.] 1차측과 2차측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되고 철심에서 발생하는 포화된 자속의 여자전류 값을 읽어서 전류 값을 측정하는데 만약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변류기 2차측을 개방하게 되면, 2차측의 자속의 사라지게 되고, 2차측 단자에 1차측 자속과 포화된 여자전류의 자속이 합쳐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2차측에는 큰 유기 기전력을 인가하게 되죠. 이 과전압은 변류기의 ..

18년 2회 전력공학 20번

20. 저압배전계통을 구성하는 방식 중 캐스케이딩(Cascading)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방식은? ① 방사상방식 ② 저압뱅킹방식 ③ 저압네크워크방식 ④ 스포트네트워크 방식 (풀이) 일단 각 방식들을 다 설명하게 되면 더 헷갈릴 수 있으니 이번 단답형은 외우기로 하죠. 저압뱅킹이 나오면 캐스케이딩, 캐스케이딩이 나오면 저압뱅킹방식이라고요. 왜냐하면 다른 방식에서는 캐스케이딩 현상이 발생 하지않거든요. 저압뱅킹방식 이란, 두 대 이상의 변압기의 2차측을 서로 접속을 해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예요. 즉, 변압기는 여러대가 있지만 부하는 한 라인으로 사용하는 것이예요. 장점은 전압변동으로 인한 플리커가 적고, 전압강하와 전력손실이 적어요. 공급의 신뢰도도 좋고,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성도 좋아요. 그러나 캐..

18년 2회 전력공학 19번

19. 직류 송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선로의 절연이 교류방식보다 용이하다. ② 리액턴스 또는 위상각에 대해서 고려 할 필요가 없다. ③ 케이블 송전일 경우 유전손이 없기 때문에 교류방식보다 유리하다. ④ 비동기 연계가 불가능하므로 주파수가 다른 계통간의 연계가 불가능하다. (풀이) 직류송전방식은 송전효율이 좋고, 절연내력도 교류에 비해서 좋습니다. 주파수가 없기 때문에 비동기 연계가 가능하고요. 그리고 교류에서 문제인 코로나손이나 전력손실도 적어요. 표피효과도 발생하지 않죠. 대부분 직류 송전은 교류보다 좋다고 생각하시면 좋은데요. 단점은 직류변환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고요. 승압이나 강압 등 전압을 변성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리고 고조파에 대한 대비도 해야 됩니다. 직류송전은 주파수가 없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