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18년 2회 전력공학 18번

18. 선로정수를 평형되게 하고, 근접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① 연가를 시행한다. ② 전선으로 복도체를 사용한다. ③ 전선로의 이도를 충분하게 한다. ④ 소호리액터 접지를 하여 중성점 전위를 줄여준다. (풀이) 연가라는 것은 전선을 꼬아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무렇게나 꼬는 것은 아니고, 3의 배수 구간에 맞추어 설치를 하는데요. 각 상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선로정수를 동일하게 하는데에 있습니다. 선로정수가 평형하게 되면 인접 통신선에 영향도 덜 주게 되죠. 복도체 사용은 코로나 방지가 목적이구요. 이도는 전선의 단선 방지가 목적입니다. 소호리액터 접지는 선로의 안정도 향상이 목적이예요. 따라서 정답은 ① 연가를 시행한다. 입니다. 출처 공필모 티스토리 블로그

18년 2회 전력공학 17번

17. 직격뢰에 대한 방호설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복도체 ② 가공지선 ③ 서지흡수기 ④ 정전방전기 (풀이) 직격뢰라는 것은 번개를 말합니다. 건물에 피뢰침이 있 듯, 전선주나 철탑에도 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있어요. 가공지선이라는 일종의 접지선인데요. 직격뢰에 대해서 선로를 보호하고 뇌가 가지는 전기적 성질에 대해 차폐효과도 있습니다. 그리고 접지적 특성인 통신선 유도장해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목적은 직격뢰에 대한 송전선로의 보호가 목적이예요. 복도체는 송전선로에서 선이 두 가닥일때 쓰는 용어이구요. 서지흡수기는 차단기나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안정시켜주는 장비입니다. 정전방전기는 차단기 오프 후 잔류전하가 있으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방전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

18년 2회 전력공학 16번

16. 400 kVA 단상변압기 3대를 Δ-Δ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V결선을 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 ① 400 ② 566 ③ 693 ④ 800 (풀이) 변압기 고장으로 인한 긴급 V결선 시, 최대 이용할 수 있는 부하용량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Δ결선에서 V결선으로 바꾸면 변압기 한대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 때 변압기의 부하 허용량은 한대분에 루트3배를 한 것이 된다는 점이예요. 실기에서도 단답형으로 잘 나오는 문제이니 꼭 기억하세요.

18년 2회 전력공학 15번

15. 송전선로에 댐퍼(Damper)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① 전선의 진동방지 ② 전선의 이탈방지 ③ 코로나현상의 방지 ④ 현수애자의 경사방지 (풀이) 출처 국제전기 송전선로를 보시면 전선이 여러가닥으로 되어 있어요. 철탑사진은 4가닥으로 보이는 데요. 우리는 이 선이 1가닥일 때는 단도체, 2가닥일 때는 복도체, 그리고 2가닥을 초과하면 다도체라는 용어를 쓰게 됩니다. 상식적으로 154kV는 2가닥, 345kV는 4가닥, 765kV는 6가닥이 됩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전선은 이도란 것을 주게 되어 있어요. 여기에서 이도란, 겨울철에는 전선이 수축하고, 여름철에는 전선이 팽창해서 전선을 설계상 알맞게 수평축보다 늘어뜨리는 길이를 말하는데요. 이도가 있다보니, 진동에 민감하고 진동도 발생시킬 위험시 ..

18년 2회 전력공학 14번

14. 송전선로에서 고조파 제거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변압기를 Δ결선 한다. ② 능동형 필터를 설치한다. ③ 유도전압 조정장치를 설치한다. ④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지한다. (풀이) 고조파 제거방법에 대한 설명이네요. 고조파는 교류파형에서 주기적으로 파형의 왜곡이 일어나 깨끗하지 못한 전기를 공급하게 하는 현상인데요. 보통 인위적으로 전압을 변성해주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고주파와 헷갈리시면 안되요. 3고조파, 5고조파 등 앞에 그 발생 위치에 따라 명칭이 붙어요. 숫자가 낮을수록 피해나 규모가 큰 녀석입니다. 변압기 Δ결선을 하게 되면 3고조파가 회로를 순환하게 되면서 제거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고조파는 필터를 설치해서 제거를 합니다. 무효전력보상장치는 SVC라고 ..

18년 2회 전력공학 13번

13.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고자 한다. Δ결선방식과 Y결선방식을 비교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μF)의 크기는 어떠한가? ① Δ결선방식과 Y결선방식은 동일하다. ② Y결선방식이 Δ결선방식의 1/2이다. ③ Δ결선방식이 Y결선방식의 1/3이다. ④ Y결선방식이 Δ결선방식의 1 (풀이) 이전 8번 문제에서 충전전류 구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충전전류에다 3곱하기 상전압을 곱하면 콘덴서 용량이 구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아래 사진의 충전전류는 헷갈려하지 말라고 적어 놨어요. 붉은 색 마크 표시 한 부분을 이용해 문제에 접근을 하겠습니다. 콘덴서 용량 구하는 공식에 전압이 들어가는데요. 책에 따라서 E나 V를 헷갈려 하실 수 있어요. E는 전력공학에서는 상전압을 의미하고 V라 하면 선간전압..

18년 2회 전력공학 12번

12. 전선의 굵기가 균일하고 부하가 송전단에서 말단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배전선 말단에서 전압강하는? (단, 배전선 전체저항 R, 송전단의 부하전류는 I이다.) (풀이) 배전선 말단에 대한 균일분포부하의 전압강하를 묻는 문제 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전압강하라 하면 전류와 저항을 곱한 값이 되는데요. 이것이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는 부하이면 전압강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말단 집중부하는 아래 그림처럼 계수가 붙지 않은 기본형태인데요. 말단 균일 부하는 전압강하가 1/2, 전력손실이 1/3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정답은 1번이고, 단답형이니 가볍게 답만 외우셨으면 합니다.

18년 2회 전력공학 11번

11. 부하전류의 차단능력이 없는 것은? ① DS ② NFB ③ OCB ④ VCB (풀이) 단단형 문제네요. 센스가 있으면 3초내 풀수 있어요. 보기 중에서 뒤에 B가 아닌 보기가 답이 됩니다. 결국 답은 ① DS가 됩니다. 단로기라고 부르는 장치예요. 요행으로 풀었냐고요? 아닙니다. DS Disconect Switch NFB No Fuse Breaker OCB Oil Circuit Breaker VCB Vaccum Circuit Breaker 여기에서 Breaker는 차단기를 의미하는 건데요. 차단기는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요. Switch는 말그대로 스위치 입니다.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왜 DS라는 장비가 필요하냐? 그것은 이중안전을 위한 장치라고 생..

18년 2회 전력공학 10번

10. 차단기의 정격 차단시간은? ① 고장 발생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② 트립코일 여자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③ 가동 접촉자의 개극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④ 가동 접촉자의 동작시간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풀이)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에 대한 문제입니다. 일단 소호라는 의미를 알아보죠. '소호는 불꽃을 끈다.'라는 의미입니다. 차단기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면 전원의 순간적인 접촉으로 큰 에너지가 생기게 되고 그것은 보통 아크라고 하는 불꽃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 아크를 얼마나 잘 소호하는 것이 차단기의 능력인 거죠. 그런데 이 차단기라는 것은 평상 시 통전 중 트립코일이라는 장치가 있는데 이것이 차단기에 붙게되면 차단기가 열리게 됩니다. 이 트립코일은 OCR이나 OCGR등 여러 계전기에 의해 동작합니다. 개극이라는 ..

18년 2회 전력공학 9번

9. 발전용량 9800 kW의 수력발전소 최대사용 수량이 10 m3/s일 때, 유효낙차는 몇 m 인가? ① 100 ② 125 ③ 150 ④ 175 (풀이) 발전용량이나 펌프의 용량을 구하는 문제로 실기에서도 필기에서도 자주 나오는 문제이며, 소방설비기사나 공조냉동기계기사에도 나오는 문제입니다. 공식을 알고 있으면 되고요. 가급적 정석 공식을 외우시고 조건에 없으면 과감하게 없는 부분을 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① 100 가 정답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