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18년 1회 전력공학 18번

18. 변압기 등 전력설비 내부 고장 시 변류기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차로 동작하는 보호계전기는? ① 차동계전기 ② 지락계전기 ③ 과전류계전기 ④ 역상전류계전기 (풀이) 보호계전기 중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1차와 2차측 차이를 비교하여 보호하는 계전기를 차동계전기라고 합니다. 만약에 전류의 차를 비교하는 방식이면 전류차동계전기라고 하고, 전압의 차를 비교하는 방식이면 전압차동계전기라고 합니다. 차이로 동작하는 계전기, 그래서 정답은 ① 차동계전기가 되겠습니다.

18년 1회 전력공학 17번

17. 한류리액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① 충전전류의 제한 ② 접지전류의 제한 ③ 누설전류의 제한 ④ 단락전류의 제한 (풀이) 단답형 문제네요. 한류리액터는 영어로 Current Limiting Reactor라고 합니다. 첫자만 따서 CLR이라고 부르죠. 말 그대로 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터라는 의미예요. 이 때 전류란, 고장전류, 즉 단락전류를 말합니다. 단락전류가 높으면 차단기도 커져야 되지만, 한류리액터를 설치하면 차단기 용량도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④ 단락전류의 제한이 되겠습니다. (참고) 각 리액터의 특징 기사 실기에서나 다른 단답형 문제로 나올 수 있으니 참고 하세요. 1.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의 제한 2. 분로리액터 : 병렬리액터라고도 하며, 페란티현상 방지 (페란티는..

18년 1회 전력공학 16번

16. 대용량 고전압의 안정권선(△권선)이 있다. 이 권선의 설치 목적과 관계가 먼 것은? ① 고장전류 저감 ② 제3고조파 제거 ③ 조상설비 설치 ④ 소내용 전원공급 (풀이) 대용량 고전압의 안정권선은 Y-Y결선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든 △권선입니다. Y-Y결선의 장점은 같은 결선이니까 위상차가 없고요. 1차측 및 2차측에 모두 접지가 가능해서 이상전압을 경감시킬 수 있어요. 그런데 이 결선의 단점은 파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제 3고조파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요. 3고조파가 인접하는 통신선에 유동장해를 일으킬 수 있죠. 그래서 전압이 높은 변전소에서는 이를 해결 하고자 변압기 Y-Y결선에 △결선으로 별도의 보전권선을 연결해서 3권선 변압기를 만듭니다. Y-Y-△가 되는 데요. △에 동기조..

18년 1회 전력공학 15번

15. 4단자 정수가 A, B, C, D인 선로에 임피던스가 1/ZT인 변압기가 수전단에 접속된 경우 계통의 4단자 정수 중 D0는? (풀이) 4단자 정수는 영어로 four termnal constats라고 합니다. 변압기, 발전기, 분기선 등 복잡한 회로를 등가인 단일회로로 치환해서 계산하는 것 입니다.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의 관계를 행렬 정수를 이용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이 문제는 ABCD라는 4단자 정수를 가지는 선로에 1/ZT 인 임피던스를 가지는 변압기가 직렬로 연결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4단자망의 여러가지 회로가 있지만 가장 단순한 문제가 나왔고요.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단위행렬에 1행 2열에 들어간다는 것만 알고 4단자정수와 변압기 임피던스를 행렬곱 해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 입니..

18년 1회 전력공학 14번

14. 그림과 같이 “수류가 고체에 둘러싸여 있고 A로부터 유입되는 수량과 B로부터 유출되는 수량이 같다”고 하는 이론은? ① 수두이론 ② 연속의 원리 ③ 베르누이의 정리 ④ 토리첼리의 정리 풀이) 단답형 문제입니다. 변형되어서 나오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연속의 원리라는 답을 외우시면 됩니다. 그래도 간단한 설명을 덧붙입니다. 수량은 물의 양, 즉 물의 유량을 의미합니다. Q = AV Q(m3/s) 수량 A(m2) 면적 V(m/s) 유속 A구간과 B구간의 유량은 같습니다. Q1=Q2 A1V1=A2V2 연속의 원리라는 것은 'A구간과 B구간의 유량이 같다.'라는 이론입니다. A구간의 면적은 크나 유속이 느리고 B구간은 면적은 작으나 유속이 빠르게 되어 서로 상쇄되어 A구간과 B구간의 유량이 같게되는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