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필기 풀이/전력공학 278

18년 2회 전력공학 8번

8. 정전용량 0.01 μF/km, 길이 173.2 km, 선간전압 60 kV, 주파수 60 Hz인 3상 송전선로의 충전전류는 약 몇 A 인가? ① 6.3 ② 12.5 ③ 22.6 ④ 37.2 (풀이) 충전전류 IC를 구하는 문제네요. 일단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충전전류라는 공식이 '오메가 씨 이' 라는 공식으로 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해요. 잘 안외워지시면 '오메가3 먹어서 배탈이 났다. 그래서 '오메가 씨이'라고 욕했다.' 이렇게 라도 외우세요. 어디가서 제가 알려줬다고 하지는 마시고... 저희는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거니까 쉽게 암기법을 연상하는 것도 공부 입니다. 앞의 알파벳 w처럼 생긴 것은 더블유가 아닙니다. 오메가라는 그리스 문자고요. 이 오메가는 전기에서 각속도라는 의미로 '2파이..

18년 2회 전력공학 7번

7.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① 소내용 동력 ② 송풍기 손실 ③ 복수기에서의 손실 ④ 연도 배출가스 손실 (풀이) 단답형 문제네요.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복수기(condenser) 라고 합니다. 이 장치는 터빈 배기 증기를 응축하여 열낙차를 크게하여 터빈효율을 향상 시키는 장치라고 합니다. 응축된 복수(물)은 재생하고 재열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해요. 복수기 냉각수에 의한 손실은 화력발전 손실의 약 50~60%에 달한다고 합니다. 깊게 공부하시지 마시고, 단답형 문제로 복수기를 선택하는 것 잊지마세요.

18년 2회 전력공학 6번

6. 동기조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② 전압 조정이 연속적이다. ③ 중부하시에는 과여자로 운전하여 앞선 전류를 취한다. ④ 경부하시에는 부족여자로 운전하여 뒤진 전류를 취한다. (풀이) 동기조상기에 대한 문제네요. 동기조상기를 알기 전 우리는 조상설비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조상설비는 진상콘덴서, 분로리액터, 동기조상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삼상 교류를 사용하다보니 부하에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차이가 무효전력으로 나타납니다. 이 무효전력은 쓸 수 없는 전기로 전력 효율의 매우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 무효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특수설비를 설치해서 상의 위치를 조절하는데요. 이것을 조상설비라고 해요. 조상설비는 모두 부하나 선로에 병렬로 연결합니다. 특히, 동기조상기가 콘..

18년 2회 전력공학 5번

5. 소호리액터를 송전계통에 사용하면 리액터의 인덕턴스와 선로의 정전용량이 어떤 상태로 되어 지락전류를 소멸시키는가? ① 병렬공진 ② 직렬공진 ③ 고임피던스 ④ 저임피던스 (풀이) 지락전류가 발생하면 이 전류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변압기 중섬점에 리액터를 이용하여 접지를 하는데 이것을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방식의 특징은 리액터가 발생할 수 있는 선로의 정전용량과 상쇄되어 전류의 크기를 최소로 만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왜 직렬공진이 아니라 병렬공진이게 되면 직렬 공진을 하게 되면 전류의 크기가 최대가 되거든요. 이 부분은 회로이론을 공부하면 나오게 됩니다. 학술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이 문제를 이해할 때 병렬이게 되면 전류가 ..

18년 2회 전력공학 3번

3. 동작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 ① 순한시 계전기 ② 정한시 계전기 ③ 반한시 계전기 ④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풀이) 과전류 계전기의 특성 중 보호 계전기 동작시한 특성에 대한 문제입니다. 순한시에서 순은 깜짝일 순입니다. 엄청빠르게 작동하는 계전기라는 의미로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바로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고속도 계전기라고 합니다. 정한시는 정해놓은 시간에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즉, 전류가 일정한 값만 넘으면 정해놓은 시간 후에 동작한다는 의미입니다. 반한시는 반대의 의미입니다. 즉 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이 짧고 전류가 작으면 동작시간이 긴 계전기 입니다. 그래프를 묻는 문제라면 반비례 그래프를 찾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반한시 정한시는 동..

18년 2회 전력공학 4번

4. 22.9 kV, Y결선된 자가용 수전설비의 계기용변압기의 2차측 정격전압은 몇 V 인가? ① 110 ② 220 ③ 110√3 ④ 220√3 (풀이) 계기용변압기 2차측 110V 계기용변류기 2차측 5A라고 암기하는 문제세요. 다른 규격도 있지만 PT 110, CT 5라고 꼭 기억하세요. 정답은 ①입니다. 전기에서 계기용변성기라고 하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어요. 계기용변압기와 계기용변류기 입니다. 이름 그대로 계기용변압기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해서 전압계 등의 계측기나 계전기 전압을 측정할 때 씁니다. 보통 전주(전봇대) 1차 전압이 22.9kV인데요. 만약 이 전주를 1차 전압을 그대로 쓴다면 그대로 고전압이 유기되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계기용변압기를 이용해 전압의 상태를 ..

18년 1회 전력공학 19번

19. 3상 결선 변압기의 단상운전에 의한 소손방지 목적으로 설치하는 계전기는? ① 차동계전기 ② 역상계전기 ③ 단락계전기 ④ 과전류계전기 (풀이) 3상 결선 변압기가 3상으로 운전하다가 단상으로 운전하게 되었다는 것은 상에 문제가 생겼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경우, 상이 결상으로 인식되거나 뒤바끼게 되는데요. 변압기 소손 보호를 위해서 결상계전기나 역상계전기가 동작하게 됩니다. 문제에서 3상운전이 단상운전이 되었으니까, 상과 관련된 문제이니 상이라는 단어가 있는 역상계전기를 선택해주는 꼼수 잊지 마세요. 따라서, 정답은 ② 역상계전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