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학 18

[전기수학기초-17강]인수분해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인수분해'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인수분해는 '원인이 되는 수로 나눈다.'는 의미 입니다. 즉, '전개된 다항식이나 수를 다항식이나 수의 곱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6'이라는 숫자를 예를 들어볼께요. '6'의 인수는 무엇일까요? 숫자 '6'은 '2*3' 혹은 '1*6'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숫자6은 2라는 인수일 때, 다른 인수는 3이라는 거죠. 1이라는 인수를 가질 때, 다른 인수는 6이라는 의미죠. 이미 우리는 분배법칙, 제곱공식, 합차공식을 통해 곱형태로 된 다항식을 전개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여기서 곱형태의 다항식들이 인수라는 것 입니다. 인수분해는 전개의 반대를 말하는 거예요. 이 부분을 깊게 알려주는 인강들도 많은데요. 개인적으로 이 과정을 너무 ..

전기기초수학 2020.11.02

[전기수학기초-16강]다항식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다항식의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항식이란, 무엇일까요? 다항식은 두개 이상의 항으로 이루어진 식을 의미합니다.우리는 이미 다항식에 대해서 알아봤어요.문자 'a'가 있다고 해보죠. 이것을 우리는 문자항으로 이루어진 단항식이라고 해요.숫자 '3'이 있다고 해봅시다. 이것을 우리는 상수항으로 이루어진 단항식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식 'a+3'은 다항식이예요.문자항이 'a'이고, 상수항이 '3'인 두개 단항식의 합으로 이루어진 다항식이죠.식 'a+b+3'은 무엇일까요? 다항식일까요?네, 맞습니다. 이것은 문자항이 'a', 문자항이 'b', 상수항이 '3'인 다항식이예요.다항식 과정은 정의 위주로 공부를 하고요. 이해할 수 있을 정도만 공부 하세요.내림차순이라는 ..

전기기초수학 2020.10.28

[전기수학기초-15강]제곱공식과 합차공식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우리는 분배법칙을 통한 식의 전개과정을 공부를 했어요.이제 식의 전개를 좀더 쉽게 해줄 수 있는 공식 2개만 배우도록 할께요.오늘 배울 과정인 '제곱공식'과 '합차공식' 이예요.공식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예요.분배법칙을 통해서 나온 과정을 공식화 한 부분이죠.이 과정은 특히 제어공학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외우기 어려우시면 분배법칙을 이용한 직접 전개를 통해 구하셔도 되지만, 두 공식을 알고 있으면 매우 유용 합니다.무리수 및 복소수 분모의 유리화 단원에서 합차공식은 이미 여러번 만났죠.그럼 오늘 과정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제곱공식은 (a+b)(a+b) 나 (a-b)(a-b)의 부호가 같은 두 식의 곱을 쉽게 전개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이해가 안된다면 외우지 않고 분배법..

전기기초수학 2020.10.23

[전기수학기초-13강]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전기수학기초13강]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수의 마지막 과정인 '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예요. 여기까지 오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이제 수의 최고 단계까지 마스터 하신거예요. 우선, 복소수의 사칙연산은 무리수의 계산과 크게 다를 게 없어요. 실수는 실수끼리, 허수는 허수끼리 계산을 해주고, 허수 j의 제곱은 -1이라는 것만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복소수의 유리화는 잘 이해하면 좋겠지만, 공학용 계산기로 복소수 계산이 가능해요. 어떻게 유도되는 지 과정만, 짚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① 복소수의 덧셈과 뺄셈과정 이예요. 복소수의 실수부랑 허수부로 나누어져 있다고 이전에 말씀드렸죠? 계산도 실수부와 허수부 나누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특별히 설명할 게 없..

전기기초수학 2020.10.19

[전기수학기초-8강]무리수 및 근호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무리수 및 근호의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무리수란, '합리적이지 않은 수'를 의미해요. 무리수는 분수 표현이 불가하고,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불규칙적인 수가 반복되죠. 학교 다닐 때는 '√2', '√3', '√5'가 시험에 잘나온다고 수학선생님이 소수점 셋째짜리 까지 외우라고 했어요.(무조건 √를 넣어준다고 무리수가 아닙니다. √1이나, √4는 유리수예요. 아래 설명 참조하세요.) 특히, √3은 삼각함수 단원이나 전기기사 삼상 교류 전력량을 계산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제곱근의 계산이나 지수법칙을 풀이 할 때도 도움이 되죠. ① 우리는 거의 모든 수를 배웠습니다. 1강의 숫자의 이해 단원을 보면, 가장 상위 수는 실수와 허수인데요. 이 실수가 다시 유리수와 무리..

전기기초수학 2020.10.07

[전기수학기초-4강]문자가 있는 나눗셈

[전기수학기초-4강]문자가 있는 나눗셈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문자가 있는 나눗셈'에 대해 공부하려고 해요.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하면, 필기나 실기 문제를 풀 때 나눗셈 기호가 나오는 일은 거의 없어요. 나눗셈은 보통 분수나 소수의 곱의 형태로 나타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을 공부하는 이유는 앞서 이야기한 분수나 소수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문제나 풀이과정에 나눗셈 기호(÷ or /) 등장했다면 당황하시 마시고, 역수를 취한 후에 곱의 형태로 바꿔서 계산하세요. ① 예제처럼 나눗셈이 들어간 식은 역수를 취한 후에 곱의 형태로 바꿔주시면 돼요. 역수는 무엇일까요? 예를 들면 Ex1의 '나누기 a는 곱하기 1분의 a'이라고 표현했어요. 즉, '÷a → x(1/a)'..

전기기초수학 2020.10.02

[전기수학기초-2강]사칙연산

[전기수학기초-2강]사칙연산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사칙연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등학교 때 배운 더하기, 빼기, 곱셈, 나눗셈을 다시하라고?ㅎㅎ;; 전기기사를 공부하다 보면, 사칙연산을 사용할 일이 많지는 않아요. 왜냐하면 사칙연산을 계산기가 대신해주니까요. 하지만, 계산기를 사용하기 전에 사칙연산에 대해 익숙해지면, 앞으로 나올 공식들을 보다 편하게 외울 수 있고, 식을 간소화 하는데에도 아주 유용하죠. 전기기사 실기에서도 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 시간에 2가지를 정리하고 갈꺼예요. 첫번째, 사칙연산의 연산 우선순위 (초등학교 때 배운 내용이죠.) 두번째, 자격증을 따기위한 우리만의 약속 (앞으로 저랑 공부하기 위한 약속이죠.) 먼저, 사칙연산의 우..

전기기초수학 2020.09.28

[전기수학기초-1강]숫자의 이해

[전기수학기초-1강]숫자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첫 시간으로 숫자의 이해를 이야기해볼까요? 중점적으로 다룰 부분은 수의 체계와 그 특성에 대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숫자가 뭐야?"라는 질문에 여러분은 어디까지 대답하실 수 있나요? 이 질문에 일반적으로 "1,2,3,4... 10 이요."라는 대답을 받았어요. 맞는 대답이에요. 숫자를 자연수로 단정 지으면요.ㅎㅎ 숫자는 수를 나타내는 글자를 의미하죠. 세종대왕이 한글을 발명한 것처럼 인류는 숫자라는 것을 발명하게 돼요. 수를 기록하는 방법을 만들게 된 거지요. 시간이 흐르고 점차 숫자를 유용하게 사용한 인간은 지식과 학문 그리고 경험을 통해 수의 범위를 점차 확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에 대한 체계가 잡히게 되죠. 보통 전기기사 자격증..

전기기초수학 2020.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