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버보이 37

18년 3회 전력공학 12번

12. 선로에 따라 균일하게 부하가 분포된 선로의 전력손실은 이들 부하가 선로의 말단에 집중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보다 어떻게 되는가? ① 1/2로 된다. ② 1/3로 된다. ③ 2배로 된다. ④ 3배로 된다. ◆ 풀이 말단 집중부하와 균등 분포부하일 때의 전압강하와 전력손실을 묻는 문제네요. 일반적으로 부하는 수용가가 말단에 부하를 밀집해서 쓰는 말단 집중부하 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기준 1로 잡고, 균등 분포부하일 때의 값을 유추하면 됩니다. 균등 분포부하의 대표적인 예는 가로등이 있어요. 말단 집중부하를 1이라고 기준을 잡으면 변전소에서 균등분포 부하의 전압강하는 1/2, 전력손실은 1/3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잘 기억하세요. 정답은 ② 입니다.

18년 3회 전력공학 11번

11. 송전전력, 송전거리, 전선의 비중 및 전력손실률이 일정하다고 하면 전선의 단면적 A[mm2]와 송전전압 V[kV]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① A ∝ V ② A ∝ V2 ③ A ∝ 1/√V ④ A ∝ 1/V2 ◆ 풀이 이 문제는 전력손실률 공식을 알아야 답을 구할 수 있어요. 우선은 정석 풀이 후, 암기법으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정이 복잡해 보이네요. 저항을 저항률과 연관된 공식도 알아야 되고, 3상선로의 전력손실도 알아야 되고요. 전력공학에서 별도의 조건이 없으면 전압은 선간 전압 입니다.

18년 3회 전력공학 9번

9. 배전선로에 사고범위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선택접지계전방식 채택 ② 자동고장 검출장치 설치 ③ 진상콘덴서 설치하여 전압보상 ④ 특고압의 경우 자동구분개폐기 설치 ◆ 풀이 선택 접지 계전방식은 비접지 계통에서 사용이 됩니다. 선택접지 계전방식은 ZCT와 GPT를 조합한 구성으로 비접지계통의 다회선 선로에서 지락사고를 검출하고 고장선로만 선택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자동고장 검출장치는 고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자동고장구분개폐기의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3상 4선식 다중접지 방식을 사용 하다 보니, 지락사고 시, 큰 지락 전류로 인해 단락사고 발생처럼 리클로저나 차단기가 동작헀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클로저나 차단기 부하 측에 자..

18년 3회 전력공학 7번

7. 3상 송전선로에서 선간단락이 발생하였을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역상전류만 흐른다. ② 정상전류와 역상전류가 흐른다. ③ 역상전류와 영상전류가 흐른다. ④ 정상전류와 영상전류가 흐른다. ◆ 풀이 교류전원의 사고를 파악하기 위해서, ‘대칭좌표법’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요. 대칭좌표법은 사고에 대한 전원의 성분을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으로 따로 나누어 계산한 후 이를 중첩해 구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이 문제는 암기가 있어야 되는데요. 아래의 표를 보고 암기하시면 눈에 들어오실 거예요.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어떠한 대칭분이 있냐고 문제에서 묻는다면? ‘지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볼 것도 없이 영상, 정상, 역상 모두가 있는 거고요. ‘선간 단락’사고는 정상, 역상이라고 보시고, 3’상 단락’ 사..

[전기수학기초-28강]행렬의 심화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배웠던 행렬을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죠. 세부적이라고 해봤자, 단위행렬, 영행렬, 역행렬 정도의 정의만 이해하면 되고요. 행렬의 판별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행렬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추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에서 나오는 행렬에서 가급적 계산기를 사용하여 연산하도록 하겠으니, 너무 부담가지지 마세요. 그럼, START!!! ① 단위행렬은 수에서 어떤 수에 1을 곱을 곱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양은 정사각행렬이고, 대각선의 원소가 1이며,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행렬이예요. 수학적인 용어로 1은 곱셈의 항등원이라고 하는데요. 즉, 어떤 수에 자기자신을 곱하면 자기 자신이 되는 것과 같이 행렬에서도 어떤 행렬에 단위행렬을 곱하면 자기자신이..

전기기초수학 2021.03.17

[전기수학기초-23강]삼각비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원래는 1차, 2차, 3차 함수 후에 삼각함수를 공부하려 했어요.하지만, 선행학습으로 '삼각비' 라는 것을 알고가죠!삼각비라는 것은 직각삼각형에서 각 변의 길이의 비를 나타낸 것을 의미해요.좀 어렵나요? 수업을 하면서 천천히 감을 잡도록 하죠.전기기사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삼각비가 정해져 있어요.보통 이것을 '특수 삼각비' 혹은 '특수각의 삼각비'라고 부른데요.계산기를 사용하면 쉽게 구해져서, 꼭 외어야 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그래도 알고 있으면 매우 유용해요. ① 삼각비라는 것은 직각삼각형의 각도와 길이의 비율 관계를 나타내요.뒤에 나올 삼각함수에서 더 깊게 배우겠지만, 일단 예각의 삼각비만 배우고 가도록 하죠.(예각이란 90º보다 작은 각을 의미해요.)직각삼각형에서 코사인(c..

전기기초수학 2020.12.29

[전기수학기초-22강]2차 함수 및 3차 함수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2차 함수와 3차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공부한 1차 함수는 어떠셨나요? 전기기사에서 적어도 3차함수까지는 알아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해요. 2차 함수는 y=f(x)의 함수에서 x의 차수가 2차인 함수이고, 3차 함수는 y=f(x)의 함수에서 x의 차수가 3차인 함수입니다. 2차 함수와 3차 함수 그래프는 전기기사에서 종종 다루죠. 깊게 알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모양은 익히고 가도록 해요. ① 2차 함수와 3차 함수는 y=f(x)라는 함수에서 x의 차수가 2차인 함수, 3차인 함수를 각각 이야기 합니다.대칭이동이 없다면, 2차 함수의 기본형인 y=ax^2은 알파벳 'U'와 같은 모양 입니다.이 함수는 원점을 지나게 되고, y축을 중심으로 데칼코마니와 같..

전기기초수학 2020.12.15

[전기수학기초-21강]함수의 기초 및 1차 함수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등식이 아닌 다항식을 정리하는 방법을 배웠고,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들도 배웠어요. 함수는 그것보다는 한 단계 위의 공부예요. 다항식은 식을 정리하는 과정이었고, 방정식은 단항식이나 다항식에서 답을 구하는 과정이었죠. 함수는 두 변수 x,y에 대하여 일정한 관계가 있을 때, 두 식의 관계를 구하는 과정이예요. 말이 좀 어렵죠. 이해만 하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전기공학에서는 외우는 공식들이 다 이 함수 과정이예요. (이해하고 공부하면 많이 도움이 되요.) x를 입력, y를 출력이라고 가정하면 이해가 쉬워요. tv리모콘의 볼륨버튼을 생각하면 되는데요. 리모콘 볼륨 1씩 올리면, 스피커소리도 그에 맞게 커지잖아요. 그래서 우리는 볼..

전기기초수학 2020.12.03

[전기수학기초-20강]좌표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업데이트가 많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꾸벅~~ 오늘은 '좌표의 이해'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해요. 1차원, 2차원, 3차원 좌표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차원은 선, 2차원은 면, 3차원은 입체로 표현되요. 좌표를 잘 이해하면 전자기학이나 제어공학에 대한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함수나 다양한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고, 응용되는 2차원 면에 대한 좌표는 유명한 수학자 데카르트가 누워있다가, 움직이는 파리를 보고 만들었다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죠.이 단원 너무 부담가지지 말고, 가볍게 보셨으면 해요.오늘은 좌표에 점을 찍으면, 그 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있는지만 공부하세요. ① 1차원 말 그대로 수평선 위에 찍는 ..

전기기초수학 2020.11.22

[전기수학기초-19강]피타고라스의 정리

안녕하세요, 기버보이입니다.오늘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수학자 피타고라스가 발견한 정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인데요.'피타고라스가 발견했다 안했다.' 해서 말이 많은 정리 입니다.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의 제곱은나머지 양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라는 것을 의미해요.전기기사에서는 임피던스의 크기, 전하의 거리, 역률 등을 계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여러가지로 응용도 합니다.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성립되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은 직각삼각형이어야만 합니다.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하나씩 이해해 나가기로 해요. ①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보았어요.각도 90도와 마주보고 있는 가장 긴 변은 나머지 두변의 각 제곱의 합과 같아요. 이해..

전기기초수학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