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46

[전기수학기초-15강]제곱공식과 합차공식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우리는 분배법칙을 통한 식의 전개과정을 공부를 했어요.이제 식의 전개를 좀더 쉽게 해줄 수 있는 공식 2개만 배우도록 할께요.오늘 배울 과정인 '제곱공식'과 '합차공식' 이예요.공식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예요.분배법칙을 통해서 나온 과정을 공식화 한 부분이죠.이 과정은 특히 제어공학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외우기 어려우시면 분배법칙을 이용한 직접 전개를 통해 구하셔도 되지만, 두 공식을 알고 있으면 매우 유용 합니다.무리수 및 복소수 분모의 유리화 단원에서 합차공식은 이미 여러번 만났죠.그럼 오늘 과정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제곱공식은 (a+b)(a+b) 나 (a-b)(a-b)의 부호가 같은 두 식의 곱을 쉽게 전개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이해가 안된다면 외우지 않고 분배법..

전기기초수학 2020.10.23

[전기수학기초-14강]분배법칙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분배법칙의 이해'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해보죠.분배법칙은 계산을 할 때 가장 많이 쓰이게 됩니다.기본은 'a(b+c)=ab+ac' 라는 것을 의미하는 법칙입니다. (식이 분배가 되었네요.)분배법칙은 전기에 나오는 여러가지 공식이나 법칙에 이용되는 데요.전기공식이 아니더라도 제곱공식이나 합차공식도 결국 분배법칙에서 유도되는 과정들이죠.분배법칙만 잘 알아두시면 제곱공식이나 합차공식 들은 굳이 외우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로 이루어진 식의 ( )를 없애는 과정을 우리는 '식을 전개한다.'고 해요.분배법칙에 대한 여러 유용한 표현들이 있지만, 저는 ( )를 제거하여 식을 제일 단순하게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공부해보도록 하죠. ① 분배법칙..

전기기초수학 2020.10.22

[전기수학기초-13강]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전기수학기초13강]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수의 마지막 과정인 '복소수의 사칙연산 및 유리화' 예요. 여기까지 오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이제 수의 최고 단계까지 마스터 하신거예요. 우선, 복소수의 사칙연산은 무리수의 계산과 크게 다를 게 없어요. 실수는 실수끼리, 허수는 허수끼리 계산을 해주고, 허수 j의 제곱은 -1이라는 것만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복소수의 유리화는 잘 이해하면 좋겠지만, 공학용 계산기로 복소수 계산이 가능해요. 어떻게 유도되는 지 과정만, 짚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① 복소수의 덧셈과 뺄셈과정 이예요. 복소수의 실수부랑 허수부로 나누어져 있다고 이전에 말씀드렸죠? 계산도 실수부와 허수부 나누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특별히 설명할 게 없..

전기기초수학 2020.10.19

[전기수학기초-12강]허수 및 복소수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허수 및 복소수의 이해' 를 공부해보죠.허수와 복소수는 회로이론에서 많이 다루는 개념이죠. 그런데, 이 부분을 잘 알고 넘어가면 생각보다 많은 회로이론 문제들을 풀 수 가 있어요. "이런 것 까지 알아야 하나?" 라고 하실 수 있지만,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계산 부분은 공학용 계산기에 맡기면 되요. 그래서 오늘은 개념만 이해하고 가세요. 먼저 허수에 대해서 알아보죠.허수는 제곱해서 -1이 되는 수를 이야기해요. 제곱해서 -1이 되는 수가 있나요? 없습니다.그래서 '없는 수', '상상의 수'라고도 불리웁니다. 영어로는 imaginary nunber라고 하고요.정규 수학 과정에서 허수를 영어의 첫 문자를 따서 i로 표기해요.그런데 전기자격증을 공부 해보면 허..

전기기초수학 2020.10.15

[전기수학기초-11강]무리수 분모의 유리화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무리수 분모의 유리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전기기사는 무리수 분모와 허수 분모의 유리화 과정을 다루는데요.우리가 분모를 유리화하는 이유는 분모가 무리수로 되어 있으면, 계산이나 대수 비교 쉽지 않기 때문이죠.무리수 분모를 유리화를 하게 되면 이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이 단원에서 유리화라는 것은 단순하게 분모에 있는 √를 없애준다고 생각하시면 되요.(즉, 거듭제곱을 만들어 √를 사라지게 하는 거죠.)그래도 이 과정에 대해 집착하거나 숙달한 필요는 없어요.왜냐하면 요즘 공학용 계산기가 분모의 무리수를 바로 유리화 시켜주기 때문이예요.이번 강의에서는 무리수 분모의 유리화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이해 위주로 봐주세요. ① 분모의 유리화 기본은 무리수인 분모에 같은..

전기기초수학 2020.10.13

[전기수학기초-10강]제곱근(근호)을 포함한 사칙연산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제곱근(근호)을 포함한 사칙연산'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사칙연산은 이전에 나왔던 내용이예요.하지만, 근호와 근호 내부(제곱근 부분)를 문자로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어려운 과정은 아니예요.식 전체가 근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제라면 누구나 공학용 계산기만으로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단, 문자로 나오거나, 문자와 숫자가 혼용되어 있으면, 계산기만으로 문제 푸는 것에 한계가 있을 거예요.(특히, 전자기학에서 이러한 계산이 많이 나옵니다.)하기 정리한 내용에서 문자로 쓰여진 과정에 대한 감을 읽히는 게 중요합니다.이 부분이 익숙하면 내가 제대로 계산기를 눌렀는 지, 어느 정도 검산이 가능하죠. 한 문제라도 더 맞을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① 제곱 근의 기본에 ..

전기기초수학 2020.10.11

[전기수학기초-9강]지수법칙의 이해

[전기수학기초-9강]지수법칙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지수법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이미 지수법칙을 이전에 강의 했어요. '문자가 있는 곱셈 및 나눗셈'이 그렇죠. 그래서 이번 시간은 한번 더 복습한다는 느낌으로 공부해보세요. a^n과 같은 수가 있다면 우리는 a(큰 숫자)를 밑이라고 하고, n(작은 숫자)을 지수라고 한다고 했어요. 결국, '지수법칙'은 밑은 변경이 없고, 지수만 가지고 변경하는 법칙이라는 거죠. a나 n이 자연수(숫자)로 나오는 경우에는 대부분 금방 이해하시지만, 문자로 나오게 되면 갸우뚱하시죠. 그러나 원리만 알면 어렵지 않습니다. '지수라는 의미가 밑을 몇번 곱하냐?'를 의미하는 거거든요. 바로 지수법칙을 보려고 하시지 마시고, 아래 내용 ..

전기기초수학 2020.10.08

[전기수학기초-8강]무리수 및 근호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무리수 및 근호의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무리수란, '합리적이지 않은 수'를 의미해요. 무리수는 분수 표현이 불가하고,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불규칙적인 수가 반복되죠. 학교 다닐 때는 '√2', '√3', '√5'가 시험에 잘나온다고 수학선생님이 소수점 셋째짜리 까지 외우라고 했어요.(무조건 √를 넣어준다고 무리수가 아닙니다. √1이나, √4는 유리수예요. 아래 설명 참조하세요.) 특히, √3은 삼각함수 단원이나 전기기사 삼상 교류 전력량을 계산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제곱근의 계산이나 지수법칙을 풀이 할 때도 도움이 되죠. ① 우리는 거의 모든 수를 배웠습니다. 1강의 숫자의 이해 단원을 보면, 가장 상위 수는 실수와 허수인데요. 이 실수가 다시 유리수와 무리..

전기기초수학 2020.10.07

왜 전기기사인가?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왜 전기기사를 공부해야 되는가?' 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죠. 목적은 전기기사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라고 할까요. 이 글을 읽는 분이시면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고 생각해요. 아니면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능장 사이에서 고민하시는 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왜 전기기사를 취득해야 하는가? 지극히 제 개인적인 의견을 적어볼께요. 1. 전기기사는 인기 자격증이다. 큐넷 홈페이지에 기재된 19년도 기준 응시 상위 종목에 전기기사 자격증은 2위(22.4%)를 차지했어요.(짝짝~~~) 1위 정보처리기사(23.8%), 3위 산업안전기사(15%)와 함께 말이죠. 정보처리기사는 10년 전에도 공무원 가산점 자격증이라고 해서 인기가 좋았는데, 최근 ..

MY VIEW 2020.10.06

[전기수학기초-7강]분수의 지수화 및 거듭제곱의 이해

[전기수학기초-7강]분수의 지수화 및 거듭제곱의 이해 안녕하세요, 기버보이 입니다. (거듭제곱의 표현이 쉽지 않아, a의2제곱은 a^2으로 표기할께요.) 어제 분수가 끝났다고 했는데, 지수함수를 위해서 또 등장했네요. ^^ 분수의 지수화는 전기기사 과목을 풀면서 계산문제에서는 단골처럼 나오는 과정이죠. 이 과정을 충분히 연습해 두시면, 필기나 실기공부 시,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어요. 시험 전 기출문제를 반복적으로 보실 때, 눈으로만 리뷰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특히 숫자 10과 관련된 지수화는 많이 연습해두세요. 거듭제곱은 이전 강의 때부터 제가 몰래 숙제에 맛보기로 넣어 놨는데요. 그 심화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거듭제곱은 '밑을 지수만큼 곱한다.' 라는 의미입니다. 지수에 음수가 있다고 해서..

전기기초수학 2020.10.05